전복삼계탕이 몸에 안좋다는데 사실인가요?
한국사람들은 전복삼계탕 이름만 들어도 아주 든든한 보양식으로 생각될텐데요.
중국인은 전복과 닭은 함께 먹으면 안되는 음식으로 알고 있더라고요.
전복과 닭의 조합은 오히려 독이라고 하던데 사실일까요?
전복과 닭고기를 곁들어 먹으면 칼슘과 인의 섭취가 조화를 이루면서 자양강장 효능이 배가 됩니다. 두가지 모두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철분흡수도 더 잘되고 식욕도 증가시켜 줘요.
단, 전복은 맛이 달고 순해 초고추장과는 잘 어울리지는 않고 자극적인 맛 보다는 기름장에 찍어 먹었을 때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난답니다 ㅎㅎ
전복 삼계탕은 영양보양식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흔히 양기보충이라고하지요
삼계탕은 허한몸에 생기를 주기위해 예로부터 보양식으로 알려져 간편하게 조리하고 서민적인 음식으로 먹게되었고 전복은 현대에 들어 삼계탕에 추가하여 만들어진것입니다 전복에 내장에 독소가 있어 내장을 제거하지 않고 먹는경우 몸에서 거부반응 이상증세가 나타날수있으며 특별히 해조류에 알러지가없다면 전복의 내장제거후 삼계탕과 같이먹는다면 몸에 좋습니다
천생연분 음식궁합 '전복+닭고기' - 대한급식신문 전복과 닭고기를 곁들어 먹으면 칼슘과 인의 섭취가 조화를 이루면서 자양강장 효능이 배가된다.
두가지 모두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철분흡수도 더 잘되고 식욕도 증가시켜 준다.
전복삼계탕이 좋은 예이다.
전복과 닭은 서로 궁합이 좋은걸로 알고있는데 ..
돼지고기와 전복이 아닐까요??
한의학적에서는 전복과 돼지고기는 모두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궁합이 잘 안 맞는 음식으로 본다. 대신 전복은 참깨, 소고기, 닭고기, 마늘, 치자와 함께 먹으면 서로의 영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참깨에는 소화효소가 많이 함유되어 단백질이 많은 전복의 소화를 돕고, 소고기는 칼슘양이 비교적 적은데 전복에는 칼슘이 많아 서로를 보완해준다. 전복을 닭고기와 함께 먹으면 철분과 단백질이 더욱 풍부하게 되어 빈혈 완화에 효과적이다. 마늘은 피로회복에 좋다고 알려진 비타민B1이 풍부하여 전복과 함께 먹으면 더욱 기력을 회복할 수 있다. 치자는 치자나무의 열매를 건조한것인데 한의학에서 주로 약초로 사용된다. 전복과 함께 먹으면 눈의 피로가 개선된다고 알려져 있다.
전복과 닭의 저합이 독이라는 사실 처음 듣는데요
독이 된다는건 서실이 아닙니다.
공손한거북이님이 알고 계시드시 든든한 보양식입니다.
명의 별록에는 전복을 장복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눈이 맑아지며, 정력이 강해 진다고보고되었다.
전복에는 아르 기 님이라는 아미노산이 타 식품보다 월등히 많다. 전복은 타우린의보고로서,이 타우린은 담석 용해와 간장의 해독 기능을 강화하고, 콜레스테롤의 저하와 심장 기능 향상 및 시력 회복에도 효과가있다.
전복을 먹었을 때 감칠맛은 글루탐산, 아데 닐산 (AMP)으로 구성되는 감칠맛을 중심으로 글리신과 베타인에 의한 단맛이 보태져 기본적인 맛이 나고, 그리 코겐과 어우려져 짙은 맛을 낸다.
전복 내장에 함유 된 푸코 크 산틴은 인체 내에서 향 산화 및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가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영양이 풍부한 전복죽이 회복기의 환자뿐 아니라 과음 후 간 기능 화복에 좋다고 알려져 일반인들의 건강 별미로 애용되어왔다.
기능 : 심장 질환 예방, 면역력 향상 및 여성 피부 미용, 임산부를위한 식품, 건강 식품이에요
이렇게 좋은것이 어찌 독이 될 수 있겠습니까
사실이 아니니 많이 드시고 건강하세요
전복삼계탕 은 보양식으로 도 유명하고
닭의 독소를 빼는게 안에들어가는 마늘.감초 등등의 약초가 들어간걸먹으면 몸에
좋치않습니다,
전복삼계탕은 무관합니다 안에 들어간 약재료를 같이먹으면 좋치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