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19.11.10

오리너구리는 왜 알을 낳나요?

오리너구리는 왜 포유류이면서도 조류나 파충류처럼 알을 낳는 것인가요? 진화과정에서 어떤 원인이 있었던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포유류’는 흔히 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 키우는 척추 동물을 뜻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과는 달리 ‘알을 낳는 포유류’도 있다고 합니다!

    ​바로 ‘단공목’으로 불리는 동물들인데요. 이들은 알을 낳고, 새끼가 부화하면 젖을 먹여 키운다고 합니다. 호주와 뉴기니에서만 서식하는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가 여기에 속하는데요.

    ​이들 중 오리도 너구리도 아닌 독특한 외모의 오리너구리는 포유류, 조류 그리고 파충류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오리너구리의 번식기는 7월에서11월로 교미를 마친 암컷은 물가에 굴을 파고 들어가 1-3개의 알을 낳는다고 해요. 산란 후 7~10일 정도 알을 품으면 새끼가 부화하는데, 이때부터는 다른 포유류와 동일하게 젖을 먹여 육아를 합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 하나 더! 단공목 동물에게는 젖꼭지가 없습니다. 대신 땀샘이 변화해 생긴 젖샘에서 젖이 나온다고 해요. 새끼 오리너구리는 어미의 젖샘을 문질러 털 사이로 스며 나오는 젖을 핥아 먹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