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이 주식 대신 장기 채권 투자에 나설 때 기대할 수 있는 장단점은?
안녕하십니까.
청년층도 최근 투자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청년 투자자는 주식에 집중하고 있지만 채권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장기 채권 투자에 있어서 얻는 이점과 한계점에 대해서 전문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채권의 장점과 단점은 명확합니다.
장점은 안정성, 단점은 수익률입니다.
국채등의 안정성은 예금과 크게 다를바 없고 수익률은 예금보다는 조금 나은 편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지금처럼 부동산, 주식, 코인 모두 상승하는 대세 상승장에서는 채권만 가지고 있으면 포모가 오기는 합니다.
채권은 아무래도 하락장에서 빛이 나는 상품이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싱 장기 채권 투자에 나설 때 기대할 수 있는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장기 채권으로는 어느 정도 안정성과 비교적 괜찮은 수익률을 기대해볼 수 있지만
반대로 주식이나 코인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익률이 단점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 채권은 만기까지 정해진 이자를 꾸준히 지급합니다. 특히 금리가 높은 시기에 발행된 채권을 매입하면,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 배당금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수익과는 다릅니다. 발행 주체가 부도나지 않는 한, 만기 시점에 투자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 투자와 달리 원금 손실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큰 장점입니다. 주식과 채권은 일반적으로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기가 침체되거나 불안정해지면 주식 시장은 하락하지만, 안전자산인 채권에 대한 수요가 늘어 가격이 상승합니다. 따라서 주식과 채권을 함께 보유하면 전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 채권 투자에 있어서 얻는 이점
1) 안정성 - 국채·우량 회사채는 주식보다 변동성 낮아 원금 손실 위험 적습니다.
2) 고정 수익 - 정기적 이자 지급(예: 국고채 3년물 연 3~3.5%)으로 안정적 현금흐름이 발생합니다.
3) 분산 투자 - 주식과 상관관계 낮아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완화합니다.
한계점:
1) 낮은 수익률 - 주식(연 7~10%) 대비 수익 낮습니다.
2) 금리 리스크 - 금리 상승 시 채권 가격 하락합니다.
3) 유동성 제약 - 장기 채권은 중도 매도 시 손실 가능합니다.
전문가 의견: 20~30대는 포트폴리오 20~30% 채권(ETF·국채)으로 안정성 확보,
나머지 주식·ETF로 성장 추구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젊은때는 공격적인 주식투자를 통해 리스크에 대하여 배우는 것도 좋습니다. 단, 40대 넘어가면 철저하게 리스크 관리하면 투자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