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터프한호돌이179
터프한호돌이179

대장에 변에 2센치 되는 딱딱한 이물질이 있다고 합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28
기저질환
허리,목 디스크

처음엔 가정의학과 가서 먹은게 없는데도 변도 못보고 어지럽고 속 안좋아서 내원 했는데 변이 가득 차있하네요..

태어나서 이런적이 처음이라 엑스레이 찍고 변 풀어지는 약 먹고 변비겠거니 좀 괜찮아졌는데

그 이후에 목디스크 때문에 신경외과에서도 엑스레이 찍었는데 같은 얘기를 하네요

두 병원에서 시원한 얘기도 못들었고 대장에 변에 2센치 되는 딱딱한 이물질이 있다고 얘기했는데

요즘 잠도 못자고 소화 안되는 느낌이 너무 자주들어서 힘듭니다.. 어디 병원을 내원 해서 치료를 받아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변비 증상과 X-ray 검사에서 확인된 대장 내 이물질로 인한 불편함을 겪고 계시는 상황에서, 보다 전문적인 진료를 받기 위해 소화기내과 전문의를 찾아가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소화기내과에서는 대장의 상태를 좀 더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대장내시경을 포함한 여러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대장내시경은 대장 내부를 직접 살펴보며 이물질의 성질, 위치, 크기 및 주변 조직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물질이 실제로 어떤 성질의 것인지(예를 들어 돌 같은 경석, 음식물 찌꺼기 등), 그리고 그것이 소화 기능 장애나 다른 합병증을 유발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변비가 지속되는 경우, 이는 단순히 잘못된 식습관이나 생활습관 때문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대장의 기질적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구분 짓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복부 x-ray상 장에 대변이 머물러 있어서 배도 더부룩하고, 답답한 느낌이 드는 것으로 보입니다. 섬유질이 많은 채소와 과일을 많이 드시고, 운동도 규칙적으로 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내과에 방문하시거나 좌약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 소화기계의 증상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가정의학과나 신경외과 같은 진료과에서는 관련된 진료 및 치료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서는 소화기내과적으로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소화기내과로 가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 대장에 이물질이 확인된 경우 내과에 방문하여 내시경을 받고 무엇인지 정확히 확인하고 치료를 받는것을 권합니다. 또한 건강상태확인을 위해 정밀건강검진을 권합니다.

  • 변비와 소화기 증상으로 고생하고 계시니 매우 힘드시겠습니다. 두 병원에서 대장에 이물질이 있다는 소견을 들으셨다면,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대장 내시경은 대장 내부를 직접 관찰하고 필요시 조직검사를 할 수 있는 정확한 검사 방법입니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대장 내 이물질의 정체를 파악하고, 염증성 장질환, 대장 용종, 대장암 등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한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대장 운동 장애 등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기내과나 대장항문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대장 내시경 검사를 진행해보시기를 권합니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아울러 생활 습관 교정, 식이 조절, 약물 치료 등을 통해 변비와 소화기 증상을 개선해나가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속이 불편한 증상이 지속되고, 엑스레이 검사에서 변이 많은 상태이며 약을 복용해도 일시적일 뿐이라 느끼시는 것 같습니다. 변이 계속 단단해지고 쌓이는 이유에 대한 진료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내과나 상급병원의 소화기내과 방문을 고려해보시기 바라며, 대장내시경과 같은 검사가 필요할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변비약으로도 해결이 안 되면, 병원 방문하여 상담 및 평가 후에

    관장(글리세린)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그 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내과 방문 상담이 맞을 듯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