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자폐성장애인들이 인터넷에 중독되면 왜 다른 조절이 되지 않아요?

인터넷은 다양한 정보와 광범위한 사용방식을 전해줘서 많은 사람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이잖아요.

하지만 청소년이나 젊은 세대들이 중독되는 이유는 영화, 게임, 도박, 연예, 음악, 쇼핑, 성(性) 등이 넘쳐서 조절을 못하게 되었죠.

비장애인들도 인터넷에 중독되면 조절이 안 되는데 자폐성장애인들은 더 위험할까요?

하기는 인터넷 속에 특정 장면들이나 정보들에 중독되면 충동적으로 변해서 한가지 자극에 못이기는 바람에 다른 자극도 못이기니까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장이 사회복지사입니다.

    자폐성장애인의 지적수준이 아이수준이어서 중독성이 심할수 있어요

    대신 부모님의 관심과 사랑으로 보살펴 주고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부모회 등 등원해 바우처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를 권합니다

    화이팅 응원 할게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태환 사회복지사입니다.

    인지능력이 일반인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충동 조절 능력 또한 낮습니다. 인터넷을 적절 수준에서 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 하므로 한 번 중독 될 시 일반인에 비해 헤어나오기 더 힘듦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자폐성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를 바람직하게 조절못하니 그렇습니다. 그리고 충동적 성향이 강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자폐성 장애인들은 특정 주제나 활동에 강하게 몰입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인터넷은 무한히 같은 자극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몰입이 쉽게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 비장애인은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나 사회적 규범을 통해 그만해야겠다는 신호를 받지만 자폐성 장애인은 이런 사회적 단서를 인식하거나 활용하는 능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스스로 멈추는 계기를 만들기 어렵습니다. 자폐성 장애인은 시각, 청각 자극에 민감하거나 특정 자극을 반복적으로 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인터넷 속 영상, 음악, 게임은 강한 감각 자극을 주기 때문에 쉽게 빠져들고 다른 활동으로 전환하기가 힘들다고 하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30분 후에는 알림이 울리고 컴퓨터를 끈다 처럼 눈에 보이는 규칙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구요. 인터넷 외에도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부모나 보호자가 직접 인터넷 사용시간을 제한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하면 조절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자폐성 장애인들이 인터넷에 중독 되면 왜 다른 조절이 되지 않는가 라는 질문을 주셨는데요.

    자폐성 장애인들은 인지수준이

    어린 아이의 수준과 같습니다.

    어린아이의 수준과 같다 라는 것은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미흡 합니다.

    또한 아이들은 성향이 대개 충동성이 강한데요.

    앞서 언급했듯 자폐성 장애인들의 인지가 아이들의 수준과 같기에 충동성이 강한 것도 이들의 특징적 입니다.

    그래서 충동성이 일어나면 자제를 하는 부분이 미흡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