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10월 소비자물가가 1.3% 상승했다는데 추후 디플레이션 가능성도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3% 상승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전월대비로는 0% 상승이었는데 그렇다면 추후 디플레이션 가능성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1.3%로 나타났지만, 전월 대비 0% 상승은 물가 상승 압력이 약해진 상태를 시사합니다.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낮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할 경우 더욱 커지지만, 현재로서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사이의 균형 상태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물가상승 추이가

    1%대를 보였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점에서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적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0월 소비자 물가 1.3퍼센트 상승에 대한 내용입니다.

    추후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정확히는 전월대비로는 0퍼센트이겠지만 여전히 1.3퍼센트가 오르고 있기에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 물가 예측 부분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함부로 말할 수는 없지만 디플레이션까지 오지는 아닐 것 같습니다. 경기가 약간 침체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그래도 물가는 꽤나 오르는 게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아직 디플레이션을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보입니다

    • 그 이유는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오히려 역행을 해야 하는데 이정도 수준이면 경제위기 상태로봅니다

    • 따라서 디플레이션이 오기에는 아직은 물가상승율에 여유가 있는 편입니다

    • 다만 내수의 신경을 꺼버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기민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가 2개월 연속 상승했다고 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정도는 아닙니다.

    만약 장기적으로 물가는 상승하고 경기 침체가 지속된다면 디플레이션을 준비해야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