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역방향으로 평형이동한다"는 의미
전질문에서 표현을 잘못 한거 같아 재질문 올립니다
르샤틀리에 원리에서 농도 변화의 영향을 공부하다가
"생성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역방향으로 평형이동한다"라고 나와있더라구요.
여기서 "역방향으로 평형이동한다"는 의미가
평형상태일 때 (반응물 농도) > (생성물 농도)라는 뜻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역반응 속도) > (정반응 속도)라는 뜻
둘 중 어떤 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르샤틀리에의 원리는 농도 뿐 아니라 평형 상태에 있을 때 농도, 압력, 온도를 변화시키면 반응이 변화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평형을 일으킨다는 원리 입니다.
생성물의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건 말씀하신데로 최종 생성물쪽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이므로 반응이 반대로 진행되는 역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질문이 이렇게 되시는데
여기서 "역방향으로 평형이동한다"는 의미가
평형상태일 때 (반응물 농도) > (생성물 농도)라는 뜻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역반응 속도) > (정반응 속도)라는 뜻
일단 2번이 맞습니다. 최종 생성물의 농도가 늘어났기 때문에 정반응은 끝났기 때문에 속도는 0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형상태에 도달 할때까지 역반응의 속도가 무조건 높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