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는 어떤이유로 걸리게되나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우리몸에 체온이 떨어지는경우에,
감기가 걸리는걸까요?
감기가 걸리게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과로나 과도한 스트레스, 불량한 영양 섭취로 인하여 인체 면역력이 저하 되는 경우, 감기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코와 입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재채기, 기침을 통해 공기 중에 존재하던 감기 바이러스가 체내로 유입되어 감염이 되는 경우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입 안이나 공기 중에는 비말을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떠 다니게
되는데 이 것이 입 안 온도가 25도 정도로 떨어지는 경우, 빠르게 증식할
수 있는데 몸은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편도나 임파선에서 백혈구 등
염증 세포 증식을 활발하게 유도하여 목이 붓고 이로 인해 열이 나고
기침 반사가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해 코와 목 부위를 포함한 상부 호흡기계의 감염 증상으로, 사람에게 나타나는 가장 흔한 급성 질환 중 하나입니다. 재채기, 코막힘, 콧물, 인후통, 기침, 미열, 두통 및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대개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자연 치유됩니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200여 종이 넘으며, 그 중 30~50%가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이고 10~15%가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입니다. 성인은 일 년에 2~4회, 소아는 6~10회 정도 감기에 걸립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사람의 코나 목을 통해 들어와 감염을 일으키며, 감기 환자의 코와 입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재채기나 기침을 통해 외부로 나오면 그 속에 있는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건강한 사람의 입이나 코에 닿아 전파됩니다. 따라서 감기 환자와 가까이 있거나 사람이 많은 곳에 감기 환자가 있으면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됩니다. 또한 감기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이 묻어 있는 수건 등을 만진 후 그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비볐을 때에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가을과 겨울에 감기에 더 잘 걸리며, 겨울이 없는 지역에서는 우기에 더 잘 걸립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감기는 바이라스 감염입니다. 균이 많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기에 갈리게 됩니다.
감기는 그것을 유발할 수 있는 수백가지의 바이러스 중 하나에 감염이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몸의 체온이 떨어진다고 감기가 걸리지는 않습니다만, 체온이 떨어지면 면역력이 저하되어서 감염에 더 취약하게 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