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서로 다른 종의 북극곰과 불곰이 교배가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생물학적인 서로 다른 두 종의 경우 교배가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는데 다른 종인 불곰과 북극곰이 교배가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전학적으로 불곰과 북극곰은 매우 가까운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불곰과 북극곰은 약 15만 년 전 비교적 최근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된 종입니다. 이처럼 분리된 시간이 짧아 두 종의 유전자 유사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염색체 수도 74개로 동일합니다.

    보통 서로 다른 종의 동물은 염색체 수나 구조가 달라 정상적인 생식 세포를 만들지 못해 교배가 불가능하거나, 교배가 되더라도 번식 능력이 없는 잡종을 낳게 됩니다. 그러나 불곰과 북극곰은 유전적으로 유사성이 높아 교배를 통해 낳은 잡종인 그롤라 베어나 피즐리 베어도 번식 능력을 갖습니다.

    원래 불곰과 북극곰은 서식지가 달라 자연 상태에서 교배할 기회가 거의 없었습니다.

    불곰은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 대륙의 산악 지대에 주로 서식하고, 북극곰은 북극해의 해빙 위에서 살아갑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로 북극의 해빙이 녹으면서 북극곰이 먹이를 찾아 남쪽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불곰과 북극곰의 서식지가 겹치면서 자연적인 교배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 북극곰과 불곰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어 교배가 가능합니다. 불곰과 북극곰은 약 60만 년 전 공통 조상에서 분화되었으며, 비교적 최근에 종이 갈라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적 유사성 때문에 두 종이 교배하여 낳은 잡종은 생식 능력을 갖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보통 "서로 다른 종"이라고 하면 교배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자연에서는 종 분화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경우 서로 교배가 가능한 사례가 있는데요, 바로 북극곰과 불곰 간의 교배가 그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북극곰은 약 50만~60만 년 전 갈색곰에서 분화해 나온 종인데요, 진화적으로 매우 가까운 친척이기 때문에 염색체 수(2n=74)와 유전자 구성이 거의 같아 교배 시 유전자가 큰 충돌 없이 결합할 수 있습니다. 종분화가 오래 진행된 동물(예: 사람과 침팬지)은 유전자의 차이가 커서 번식이 불가능하지만 북극곰과 갈색곰은 아직 생식적 장벽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상태라 교배가 가능하며, 그 결과 태어난 잡종(‘피즈리 곰’ 또는 ‘그롤라 곰’)도 불임이 아니라 번식 능력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두 종이 여전히 유전적으로 충분히 비슷하다는 증거입니다. 또한 기후 변화로 북극의 얼음이 줄어들면서 북극곰이 남쪽으로, 갈색곰이 북쪽으로 서식 범위를 넓히며 겹치는 지역이 늘어났는데요, 이로 인해 야생에서도 자연 교배 사례가 점점 보고되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