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은행의 붕괴에 미국의 금리동결 예상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뉴스를 보니까 미국정부에서 고객들에 대해서 전부 보증을 해준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그와함께 미국의 금리동결예상이 항상 따라붙는데
그렇게 예상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경제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있습니다
그 최대지표가 실업률,고용지표였는데
너무 탄탄하니 아 금리를 더올려도 되겠구나 하고 올리는 것이죠.
그러나 지금의경우 미국16위 201조 규모의 은행이 파산했다면 여파가 어느정도 될지 모르니 경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생각이 들것이고 여가서 금리를 더 올리면 망할 수 있으니 금리를 당분간 동결하여 경제를 안정화 시킬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은행들의 파산이
금리인상이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기에
금리 동결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16위 상업은행의 파산으로 인해서 경기침체 시그널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지난주 금요일 실업률이 3.6%로 예측치인 3.4%에 비해 높게 나오면서 경기침체 현상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하게 주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렇게 실업률이 증가하고 미국내 중견은행의 파산은 곧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니 경기침체의 압박은 연준으로 하여금 그동안 '미국의 경제는 튼튼하여 금리인상을 버틸 힘이 있다'라는 근거가 사라져 버리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연준은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으로 인해서 경기침체의 우려로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0.25%의 금리인상에 대해서 90% 금리동결을 10%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연준의 금리인상의 조절은 경제에는 어느정도 활기를 줄 수 있으나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추게 되는 경우 향후 더 극심한 인플레이션 고통에 시달릴 수 있어서 아무래도 연준의 고심이 깊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에서 보증을 하기 전부터 금리 동결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그 이유는 svb가 파산한 이유가 미국의 기준금리가 너무 높다보니 수익성 악화로 인한 이슈가
투자자들의 뱅크런들로 이어졌습니다.
따라서 svb 이슈가 미국정부의 보증으로 덮어지고 앞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막기위해서는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것으로 생각이 이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