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들이 매수세가 많으면 왜 주식이 떨어진다고 말하는건가요?
보통 주식을 공부하다보면 개인들이 많은 매수세가 들어오면 주식이 상승을 하기가 어렵다고 말들 하는데
매수세가 들어오면 주식이 상승을 해야한다고 보는 관점이지만
왜 개인 매수세가 주식 상승을 어렵게 한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개인들의 매수세가 많아지면 왜 주식이 떨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어느 정도 수익을 보고 나가는 시점에서
개인들이 매수를 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의 매매 후 보유 기간이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개인이 많이 타고 있는 종목의 경우에는 가격이 조금만 떨어져도 개인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게 됩니다.
세력은 개인이 많이 타고 있을 경우, 시세 변동에 매수매도가 잦기 때문에 시세를 움직이기가 어려워서 세력이 개입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주식은 개인의 돈 몇백만원, 몇천만원으로 올리는게 아닙니다.
또한 주식을 크게 올리려면 기다림이 있어야 하는데 개인이 몇십만원, 몇백만원 이런식으로 많이 매수한 주식은 올라가는 과정에서 조금만 올라가도 끊임없는 매도가 나옵니다.
주식은 개인이 몰려와서 올리는게 아니라 큰손이 큰 액수의 매수를 해서 올리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많다고 해서 반드시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주가 하락을 야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는 개인 투자자에 비해 정보 접근성이 높고 분석 능력도 뛰어납니다. 이들은 기업의 실적, 산업 동향, 거시 경제 상황 등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정보 접근성이 낮고 감정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개인 투자자들이 특정 종목에 몰리는 현상은 기관 투자자들이 보기에 '고평가'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기관은 매도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투자 기간을 선호하며, 변동성이 큰 종목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되면 주가가 급등할 수 있지만, 동시에 급락할 위험도 커집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확실한 정보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소문이나 이미 늦은 뉴스로 인해 이미 호재가 다 반영되어 있을수 있습니다. 뒤늦게 매수를 하는 경향이 있어 이후 기관이나 외인이 빠져나가 하락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단기적인 수익만 추구하는 경향이 있을수 있어 매수세가 몰려 가격이 상승하면 바로 팔아 매도세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많아지면 주식 시장에서 '역행 지표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이 주로 시장의 상승세가 한창일 때 뒤늦게 매수에 나서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개인들의 매수세가 강해질 때는 이미 주가가 많이 올라 있어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들은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해질 때 이를 매도의 기회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개인 투자자들보다 더 많은 정보와 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어, 개인들의 매수세가 강해지는 시점을 주가 고점으로 판단하고 매도에 나서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개인들의 매수세가 강해질 때 오히려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의 매수세가 많으면 겉보기에는 수요가 많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력이 매도를 하고나서 가격을 내리기 위해 매수벽(매수 잔량)을 만들어 놨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