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고귀한고양이30
고귀한고양이30

11개월 남자아기 자폐증상인가요?

11개월 남자아기 키우는 초보아빠입니다.

태어날때 2.3kg 미숙아로 태어났고,

9개월~12개월용 영유아검진에서 언어,사회성 영역에서 주의 판정을 받았습니다.(추적검사요망)

호명반응이 적은 편입니다. 아예 없는편은 아니고 여러번 불러야 한 번 쳐다봅니다.

그리고 모방행동을 안합니다. 짝짜꿍 곤지곤지 젬젬 등... 따라해보라고 하면 쳐다보고 웃기만 하구요.

부모가 내는 소리를 흉내내거나 입모양을 따라하려는 행동도 없습니다.

답답하여 양손을 붙잡고 직접 박수치게 유도를하는데, 손을 뿌리칩니다.

손을 뿌리치는건 평소에도 강한데, 본인이 부모의 손을 잡는건 좋아하나,

부모가 본인손을 잡는것에 거부반응이 있는 듯 합니다.

발화는 현재까지도 어쩌다 '음마' 소리가 나오고, 옹알이수준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소리 시작자음이 ㅇ 밖에 없습니다. 다다다 바바바 소리를 해본 적이 없습니다.

와이프는 '좀 느린거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저는 걱정이 많이 됩니다.

자폐는 조기발견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정작 병원에서는 3~4개월 뒤에도 똑같은 증상이면

다시 오라고 합니다만,

주변에서도 '남자아이가 좀 많이 느리더라... 우리아이도 그랬었는데 지금은 말도 잘하고 모방행동도 잘한다.'

라고들 하는데, 제가 과민반응하는 것일수도 있으나 낙천적인 생각으로 아이가 잘못될수도 있다는 생각이

머리에서 떠나질 않습니다.

아직 돌도 안 지난 아기라서 소아정신과에 방문해도 헛걸음할까봐 답답하기만합니다.

와이프도 별로 신경쓰지 않는 눈치고, 자폐의 '자'자도 꺼내지 못하게합니다.

최근 영유아자폐가 늘었다고해서 걱정이 많이됩니다. 전문가들의 소견을 듣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영유아 검진에서 언어, 사회성 부분에서 주의를 받았고, 여러가지 발달 면에서 또래 보다 느리다면 소아 정신과에 방문해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부모를 위한 것이 아니라 아이를 위해서요.

      자폐라고 단정짓지 마시고 아이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 입니다.

      아이의 상태를 정확히 알아야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의 증상은 보통 3세 이전부터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보호자와의 애착 행동이나 상호작용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부모님이 보시기에 불안하면, 아이의 모습을 영상에 담아서, 기존 병원보다는 다른 소아과에서 상담을 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의 증상은 대체로 부모가 부르면 호명 반응이 대체로 이뤄지지 않거나

      상호작용도 잘 안되며,

      눈 마주침도 잘 되지 않는 등,

      눈 맞추기, 표정 제스처 사용이 현저하게 적거나 발달 수준에 적합한 또래 관계를 이어가지 못한다면,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 보셔야 합니다

      한 군데의 병원 보다는 다른 곳에서도 상담을 받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최소 만 2세 정도는 되어야 자폐를 판정할 수 있으며 이제 말을 배우는 시기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언어적인 자극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돌도 안지난 아기라 자폐증상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려워 보여요.

      성장하면서 좋아지는 아이들도 있기는 하지만 혹시 모르니 잘 지켜봐주시고

      꾸준히 전문병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는것이 좋을듯해요.

      자폐아의 기본적인 특성이 누가 불러도 반응이 없고 본인이 하고 싶은것만 합니다. 혼자 다른세상에 살고 있는것처럼 행동하지요. 표현도 잘 못하구요.

      건강하게 성장하는지 잘 지켜봐주세요.

      부모의 관심이 아이의 초기 증상을 찾을 수 있거든요.

      돌 무렵 아이는 많이 성장하게 되요.

      3개월 지켜봤는데도 성장발달이 없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병원에 가는것이 좋을듯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1개월이면 아직 자폐라고 판단하기는 어려울수있습니다

      아이에 따라서 발달이 느릴수도 있기에

      가능하면 신체적 인지적 자극을 계속주시면서 지켜보는것이 좋으며

      병원 말대로 조금더 보면서 돌은 지난후에 검사를 다시 받아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