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AI가 신고단가 허위 여부를 국가별로 비교해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AI 통관 프로그램을 사용 할 때 동일 품목의 서로 다른 국가 간의 수입 단가 차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서 수입자에게 안내해줄 수 있을까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ai 통관 시스템이 국가별 수입단가 데이터를 학습하면 동일 hs코드 품목의 신고단가를 국가별기간별로 비교해 이상 여부를 잡아낼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국가에서만 유독 낮거나 높은 단가가 반복된다면 허위 신고 가능성을 경고 형태로 안내할 수 있지요. 다만 실제 단가 차이는 생산지 원가, 물류비, 환율, 계약 조건에 따라 합법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단순 비교만으로 허위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결국 ai는 ‘이상징후 알림 역할까지만 가능하고, 최종적인 법적 판단은 세관 심사와 추가 증빙 검토를 거쳐야 하는 구조가 적절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충분히 가능합니다만, 이에 대하여 기업 내부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는 다른 국가의 정보도 확인이 필요할 듯 합니다. 아울러 이미 기업들은 이전가격 시스템을 통하여 이러한 부분들에 대하여 확인을 하고 있기에 따라서 사실상 이미 이러한 시스템은 존재한다고 판단되며 따라서 AI를 적용하기도 쉬울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부 국제적인 가격시세가 있는 품목이 아니라면 수입관세당국에 신고되는 물품별 거래가격에 관한 정보를 AI가 그냥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즉,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이에 대한 판단이 어려울 수 있는데 만약 AI가 이러한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다면 각국가별 신고가격, 관세율, 거래패턴 등을 비교하여 이상단가를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가능합니다. 다만 설계가 관건입니다. 우선 HS코드와 규격을 표준화하고 인도조건을 모두 CIF로 환산해야 합니다. 통화와 운임과 보험을 반영해 단가를 정규화합니다. 그 다음 국가별 과거 신고 데이터와 국제가격 지표를 학습해 계절성과 환율을 보정합니다. 이상치 탐지로 국가 간 편차를 점수화해 안내합니다. 단가가 낮다고 곧바로 허위는 아닙니다. 샘플 계약이나 리베이트 반영 여부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설명 가능한 규칙과 근거 화면이 필수입니다. 개인정보와 영업비밀은 익명화가 필요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