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량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주량이 쎈사람과 약한사람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정신력 이런거말고 인체공학적으로ㅎㅎ 어떤 요인 조건이 주량을 결정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알코올의 경우 간에서 알코올 탈수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물질로 분해됩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얼굴 붉어짐과 메스꺼움 어지러움 등 술을 더 마시지 못하게 하는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입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아세트알데하이드분해효소에 의해 아세트산과 물로 분해됩니다.
결국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가 몸에 얼마나 많이 생성되는지가 주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잇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간의 대사 능력입니다. 간에서 알코올을 분해 및 대사할 수 있는 한계점이 적거나 빨리 도달하면, 취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체중이 큰 사람은 주량이 큰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체지방 함량이 낮은 경우, 알코올이 빠르게 분해되어 주량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은 알코올을 대사하여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간 기능이 뛰어난 사람은 알코올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주량이 높을 수 있습니다.
또한
대사 속도가 빠른 사람은 알코올을 빨리 대사하여 주량이 높을 수 있습니다.
주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유전, 체중, 성별, 간 기능 등입니다. 유전적으로 알코올 분해 효소의 양과 활동성이 다를 수 있어 주량에 차이가 생깁니다. 체중이 많을수록 알코올이 더 많이 분산되므로 주량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남성은 여성보다 알코올 분해 효소가 더 많아 일반적으로 주량이 더 셉니다. 또한 간 기능이 좋을수록 알코올을 더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유전적 특성, 체중, 성별, 간 기능이 주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주량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개인의 체중, 성별, 건강 상태, 알코올에 대한 내성, 음주 속도, 음식과 함께 마시는지 여부, 마시는 술의 도수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개인의 음주 습관, 목적, 사회적 상황, 감정 상태 등도 주량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량을 결정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개인마다 차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몇 가지 요인들이 주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으로 알코올 분해 효소의 차이입니다.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의 종류와 활성도에 따라 주량이 달라지며 알코올 분해 효소가 많고 활성도가 높을수록 술에 강한 편입니다. 또한 유전적으로 알코올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체질이 있는 경우 주량이 낮을 수 있습니다.
신체적 요인도 그 이유입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체지방 비율이 높고 알코올 분해 효소의 양이 적어 주량이 낮은 편이며 체중이 무거울수록 알코올이 혈액에 희석되어 알코올 농도가 낮아져 상대적으로 주량이 높을 수 있습니다. 비슷하게 키가 클수록 체내에 분포하는 수분량이 많아 알코올 농도가 낮아질 수 있고 근육량이 많을수록 알코올이 근육에 분포되어 혈액 내 알코올 농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간 기능, 신장 기능 등 건강 상태에 따라 알코올 처리 능력이 달라져 주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물론 꾸준히 술을 마시는 사람은 내성이 생겨 주량이 늘어날 수 있고 음식을 함께 섭취하면 알코올 흡수 속도가 느려져 덜 취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량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개가 있을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체격(키,몸무게), 컨디션, 연령, 음주 습관, 그리고 유전적 요인에 따른 알콜 분해 효소의 활성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량은 사람마다 모두 다른데요, 술을 잘 마시는 사람도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도 있습니다.이러한 차이는 알코올을 분해하는 ALDH(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 효소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부분입니다. 해독을 담당하는 간은 ALDH 효소로 알코올을 제거하려고 하는데 체질적으로 이 효소의 생성률이 낮은 사람은 술을 잘 마시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ALDH는술을 많이 마신다고 해서 활성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많은 양의 술을 마시게 되면 간손상과 알코올 분해능력 저하로 주량이 줄어드는 악순환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