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햄으로만드는요리
햄으로만드는요리

공급가액과 공급대가는 다른 말인가요?

간이과세자의 기준은 직전 연도 공급대가의 합계액이 1억 400만 원 이하라고 하는데요. 공급가액이라는 말과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공급가액은 상품과 서비스의 실제 가격을 뜻하며, 세금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만약 상품을 천원에 판다면 그게 공급가액입니다. 공급대가는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를 더한 금액으로 소비자가 실제로 지불하는 최종 금액입니다.

    정리하면, 천원짜리 상품이 있으면 이는 공급가액 천원인데, 부가가치세 10%가 붙어 천백원에 판매되면 공급대가는 천백원이며, 백원은 세금으로 납부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급가액은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대가 중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을 말하며 부가세 신고시 과세표준으로 활용됩니다.

    공급대가는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대가 전액을 말하며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을 말합니다.

    공급가액과 공급대가는 부가체의 포함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공급가액은 재화, 용역 등을 제공하고 받은 일정 금액으로 부가가치세액을 포함하지 않은 순수한 재화와 용역의 교환 가치만 해당하지만, ​반면 공급대가는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고 받은 대가이며, 재화나 용역의 교환 가치, 그리고 그에 따른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것입니다.

  • 공급가액은 상품이나 서비스가 공급되는 실제 금액을 말합니다.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순수한 거래 금액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급대가는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총거래 금액을 의미합니다.

    즉, 공급대가는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를 더한 금액으로 소비자가 실제로 지불하는 금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