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지원금 25만 원을 받으면 나중에는 45만 원을 갚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던데요 계산법이 어떤 것이 존재하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인생지원금 25만 원을 받으면 나중에는 45만 원을 갚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던데요 계산법이 어떤 것이 존재하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민생지원금 25만원을 받으면 45만원을 갚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그들이 주장하는 것에 대한
근거를 정확하게 제시하지 않기에
정확하게 알 수 없고 그저 그들의 주장일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계산법이 정확하게 어떤 구조로 이루어졌느지는 모르지만 우리가 받은 것보다 더 많은
세금을 지불해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그 이유는 전국민이 돈을 받았지만 이를 갚는 즉 세금을 내는 사람은 그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세금을 내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받게 되는 민생지원금도 부담을 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은
내가 받은 지원금 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하는 구조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결국 물가 상승과 세금 납부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45만원을 납부한다는 개념보다는 이번에 민생지원금으로 큰 돈이 지출되면서 이를 매우기 위한 것이 세금이 될 가능성과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되어 피해가 올 것들을 예견하여 하는 여론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단순한 이자, 추가 상환 구조를 오해한 계산입니다. 대출 형식지원일 경우 금리와 상환기간을 감안하면 총 상환액이 원금보다 많을 수 있습니다. 다만 실질적인 45만원 의무 상환 제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이자, 간접 비용 그리고 미래의 세금 인상분을 모두 합치면, 현재 받은 25만 원보다 훨씬 큰 45만원을 세금으로 내개 될 것이라는 논리가 됩니다. 즉, 25만원은 현재의 이익, 45만원은 미래의 손실이라는 프레임입니다.
25만 원을 45만 원으로 갚아야 한다는 주장은 정부가 부채를 통해 지급하는 돈은 공짜가 아니며, 미래의 세금으로 반드시 돌아온다는 비판적 메시지를 극단적인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25만원 받으면 나중에 45만원 갚아야한다는건 전혀 근거가 없는 금액입니다
민생지원금 재원으로 국채 발행량이 늘어 국가 부채가 늘어나는건 맞지만 45만원 갚아야하는건 아닙니다
단지 국가 부채가 늘어나니 미래에 세금을 조금 더 낼수는 있는 상황정도인거죠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생지원금은 정부의 재정 지출로 이루어진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입니다.
민간에 지원을 하여 소비를 확대하고 이로인해 경제를 살리는 취지입니다.
재정지출은 결국 재정악화로 이어지고 이는 세수 부담으로 돌아올수 있기는 하나 단기적으로 이런 소비 순환은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세금 부담으로 돌아오는 부분은 단기 재정지출과 세수의 균형을 계산했을때 손해라고 판단해 그렇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45만원이라는 말은 실제 재정 정책이나 물가 상승, 경제 전반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것은 현재의 화폐가치와 미래화폐가치가 달라지기때문입니다. 과거의 신라면 한봉지와 미래의 신라면 한봉지의 가격이 다르듯이요. 이렇ㄴ금액적 차이가 발생하는것은 어쩔수 업ㅎ는 요소로 환율에서도 현재 반영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생지원금? 민생지원금을 말씀하시는 것이죠? 민생지원금을 25만원 받더라도 45만원을 상환해야한다는 것은 잘못된 얘기입니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