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본왕은 누구인가요? 처음 보는 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모본왕은 처음 보는 것 같은데
어느시대 왕이었나요?
그리고 모본왕의 생애와 업적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 고구려 제5대(재위:48~53) 왕입니다.
재위 48∼53. 일명 ‘막래(莫來)’이며, 이름은 ≪삼국사기≫에는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라 하였으나 ≪삼국유사≫에는 ‘해(解)’를 성으로 보아 ‘애류(愛留)’ 또는 ‘우(憂)’라 하였다.
제3대 왕인 대무신왕의 원자(元子)로 태어나 서기 32년(대문신왕 15) 12월에 태자로 책립되었으나 왕이 죽자 아직 태자가 어리다 하여 대무신왕의 동생인 민중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뒤 민중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삼국유사≫에는 모본왕이 민중왕의 형이라 하였다.
모본왕은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한을 사 마침내 재위 6년 만에 신하인 모본인(慕本人) 두로(杜魯)에게 피살되어 모본원(慕本原)에 장사지냈다. 대외적으로는 49년(모본왕 2)에 한(漢)나라의 북평(北平)·어양(漁陽)·상곡(上谷)·태원(太原) 등에 쳐들어간 사실이 있다.
즉위년 10월에 왕자 익(翊)을 태자로 책립하였으나 모본왕이 죽은 뒤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의 아들인 궁(宮)이 제6대 태조왕으로 즉위하였다. 그런데 궁의 성은 고씨(高氏)이므로 모본왕을 마지막으로 하여 소노부(消奴部) 출신의 유리왕계의 해씨왕시대(解氏王時代)는 끝이 나고 계루부 고씨(桂婁部高氏)의 왕위계승권이 확립되었다고도 본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모본왕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본왕은 고구려 5대 왕이며 기록을 보면 즉위 2년에 한나라를 공격하였고 자연재해로 백성들이 굶어죽으려고 하자 백성들을 구제하였습니다.
왕은 날이 갈수록 난폭해지고 학대하니, 사람을 깔고 앉고 누울 땐 사람을 베고 누웠다. 사람이 혹이나 움직이면 바로 죽였다. 신하 중 간언하는 자가 있으면 활을 쏴 죽였다 라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있습니다.
또한 삼국사기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두로에게 말하기를
"대장부가 왜 우느냐? 옛 사람이 말하기를 '나를 쓰다듬으면 임금이요, 나를 학대하면 원수로다.' 라고 했다. 지금 왕의 행함이 잔학하여 사람을 죽이니 백성의 원수다. 네가 그를 죽여라."
두로는 이를 듣고 왕을 시해했다고 한다.라고 되어있습니다.
이처럼 모본왕은 한 때 후한의 동북방 일대를 위협할 만큼 군사적인 능력이 있었으나, 내부적으로는 학정을 일삼다 암살을 겪은 폭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본왕은 고구려의 제5대 국왕입니다.
제3대 왕인 대무신왕의 자식입니다.
이복형제 호동과의 태자 다툼에서 승리하고 왕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본왕(慕本王, 1세기 초반 ~ 53년 음력 11월, 재위 : 48년 ~ 53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5대 국왕이다. 이름은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본왕(慕本王, 1세기 초반 ~ 53년 11월재위 : 48년 ~ 53년)은 고구려의 제5대 국왕이니다. 이름은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이다. 제3대 왕 대무신왕과 그 원비(元妃)의 자식이니다. 민중왕 사후 즉위했으나 성격이 포악해서 원망을 많이 샀으며 결국 왕을 곁에서 모시던 두로에게 살해당했다고 합니다. 고구려 초기 라서 기록이 별로 없기도 하지만 그다지 좋지 못한 일만 해서 업적이 별로 없는 것으로 기록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본왕은 이름 해우, 해애루 이며 대무신왕의 아들리며 민중와의 뒤를 이어 즉위했습니다.
49년 한나라의 북평, 어양, 상곡, 태원등을 공격했으나 요동태수 채동의 제의로 화친을 맺었으며 원래 성품이 포악하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의 원성을 들었으므로 신하 두로에게 피살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