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멋진매미188
멋진매미18822.09.05

전세사기 안당하려면 무엇을 보아야하나요?

전세를 구하고 있습니다. 요즘 깡통전세다 해서 사기가 많은데, 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무엇을 보아야 하나요?바로 해야할일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태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기초하여 답변드립니다.

    전세 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래 항목을 꼼꼼하게 검토해보시면 좋습니다.

    1. 등기부부본을 직접 발급 받아서 반드시 내용 확인 (집주인 인적사항, 근저당 설정/압류 등 확인)

    2. 신분증 진위 확인 및 실소유권자와 직접 만나서 계약하기

    3.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4.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하기

    5. 공인중개사 신분 조회 (국가공간정보포탈에서 조회)

    6. 근저당 금액이 매매가의 20% 초과시 계약하지 않기

    7. 계약 전 건축물대장을 확인하여 불법적인 용도변경이 있는지 확인하기

    8. 전입신고나 확정일자 미뤄달라고 요구할 시 의심하기 (집주인이 확정일자 전에 근저당을 설정할 수 있음)

    9. 전세대출이 안된다고 해도 대출이 나오는 건물인지 확인해보기

    10. 주변 전세시세말고 매매시세도 꼭 같이 확인하기 (깡통전세 사기 방지)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사기는 대체로 두가지 형태입니다.

    소유주나 권리를 변동시켜 대놓고 사기를 치자고 마음 먹은 유형과 불가피하게 부동산경기가 안좋아져서 전세가보다 매매가가 낮아지는 역전세가 되어 보증금을 돌려줄 수 없는 형태가 있습니다.

    전자는 계약시 등기부와 신분증을 통해 소유주 확인을 잘 하시고, 전입당일까지 소유주변경이나 근저당등의 등기상 권리 변동이 없을것에 대한 특약정도를 쓰시면 일이 터져도 대처는 가능합니다.

    후자는 일명 깡통전세로 가급적이면 매매가에 근접한 전세는 계약하지 마시고, 보증보험에 가입 가능한 집을 위주로 계약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물론 위의 내용들을 따지다보면 계약집이 현저히 적어지는 문제도 있겠으나, 적어도 전세사기는 어느정도 예방 가능합니다.

    그외에는 드물지만 부동산이 중간에서 계약금등을 받아먹고 주인에게 주지 않는 일들도 있다고는 합니다. 이런거는 뉴스에나 나올법한 일로 흔한일은 아닙니다. 전세사기라기 보다는 그냥 부동산의 사기라고 보는게 맞을것 같네요.

    어쨋든 이런일도 있으니 모든 돈은 주인에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또한 부동산을 통해서 집을 알아보실때는 광고를 보고 집을 보러 가시더라도 그 지역 주변 부동산을 이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멀리 있는 부동산(차로 30분이상거리)에서도 광고를 많이 하기는 하나 그런 부동산들은 일명 컨설팅 부동산으로 활동하는 부동산이 많고, 아니더라도 시세에 대한 안내 측면에서 주변 부동산에 비해 좀 떨어지는 면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05

    1. 집주인과 등기부등본에 있는 이름이 맞는지, 신분증 확인


    2. 매매가격에 어느정도의 보증금인지 확인(전세보증금이 높으면 부동산가격이 하락할때 새로운 세입지를 구하기힘들어 돌려받는데 힘들 수 있음)


    3. 공인중개사 신분 확인.


    4. 전세보증보험 가입


    5. 확정일자 받기



    위 부분을 잘 확인하시면 문제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1. 주변 시세를 잘 확인하고 시세대비 높은 금으로 계약하지 마세요.

    2. 등기부등본을 확인하시고 선순위 물권이 없는지 확인하시고 만약 있다면 보증금과 선순위 금액을 합한 금액이 주변 매매가 대비 70~80%를 넘지 않도록 하세요. 안전하다고 생각되어지는건 70%까지로 보시면 될 듯 합니다.

    3. 등기부등본상의 임대인에게 계약금 및 잔금을 입금하세요. (건축주나 건설회사, 중개인 통장 절대 금지)

    4. 건축물대장을 확인하셔서 위반건축물이 아닌지 보세요.

    5. 전세권설정 또는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세요. 만약 확정일자+전입신고만 하실거면 최대한 빨리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