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착실한꿀벌132
착실한꿀벌132

대상 포진으로 인해 너무 고통스럽답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48

대상 포진으로 인해 너무 고통스럽답니다

어제 저희 엄마가 나이가 많으셔서 큰 병원

세군데서 안 받아줘서 더 아파하시더라구요

좋은 약이나 치료제 민간요법등등

정보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철희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의 치료에 대해 문의 주셨는데요, 걱정이 많이 되셨을 것 같습니다.

      대상 포진의 경우, 초기 치료에 있어 항바이러스제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시클로버, 팜시클로버, 발라시클로버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입니다. 특히, 대상 포진의 첫 발진이 나타난 후 72시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면 증상 감소와 대상 포진 후 신경통 (Postherpetic neuralgia, PHN)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용법과 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시클로버(Acyclovir): 1회 800mg, 1일 5회, 총 7일간 복용

      - 팜시클로버(Famciclovir): 1회 250mg, 1일 3회, 총 7일간 복용

      - 발라시클로버(Valaciclovir): 1회 1000mg, 1일 3회, 총 7일간 복용

      이외에도 대상 포진 후 신경통 (PHN)을 예방하거나 경감하기 위한 약물로는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리도카인 패치 등이 사용됩니다.

      용법과 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바펜틴(Gabapentin): 1일 300mg부터 시작하여 필요에 따라 1800-3600mg/일까지 조정 가능

      - 프레가발린(Pregabalin): 초기 1회 75mg, 1일 2회 또는 1회 50mg, 1일 3회. 필요시 1주일 내 300mg까지 증량 가능

      - 리도카인 패치(Lidocaine Patch): 1일 1-3매를 가장 통증이 심한 부위에 최대 12시간 부착

      이러한 약물들은 물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처방 후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진료를 우선적으로 받아보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확한 상황을 알 수는 없으나 고령이라고 해서 대상포진을 안 받아주지는 않습니다.

      입원은 되지 않더라도 통원치료는 될 텐데요? 치료 자체가 고령이라고 안되는 질환은 아닌데..

      3군데 모두에서 대상포진 치료가 불가능하다면 대학병원에라도 외래로 방문하셔서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진통제 처방등이 꼭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으로 인한 신경통이 심하다면 신경 차단 주사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소염진통제 및 신경병증에 효과적인 약물을 처방 받아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의 경우 아시클로버나 팜시클로버와 같은 항바이러스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일차적인 치료를 진행해 볼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셨다면 이후에는 신경통에 효과있는 약제를 드시면 됩니다.

      딱히 민간요법은 없어요.

    • 대상포진과 관련하여서는 최대한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럼에도 후유증으로 통증이 지속될 수 있으며 관련하여서는 진통제를 통해서 조절을 하고 신경차단술 등을 통해서 조절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은 추천해드릴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조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대상포진으로 인한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진통제의 종류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선택합니다.

      증상이 심하시면 입원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알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