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러블리한꽃무지1
러블리한꽃무지124.01.14

기립성 저혈압이 심장문제인가요?

나이
44
성별
남성

제가 얼마전 머리머리 멍함증세가 있어서 신경과 갔었는데 검사에서 심장안정도가 안좋고 기립성저혈압 증세가 보인다던데 심장이 문제있어서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건가요? 인터넷 보니까 그런 말이 있어서 요즘 오래앉았다 일어나면 야간 현기증 증세가 있는거 같아요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기립성 저혈압, 어지럼증은 생리적인 증상입니다. 머리의 위치가 바뀔때 빠르게 머리로 혈액 공급이 안될 경우 증상이 유발 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실신하며 머리를 다칠 수 있으므로 일어날때 천천히 일어나고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재빨리 자리에 주저앉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 꾸준히 운동을 하시기 바랍니다.


  • 기립성 저혈압은 단순히 자세 변화에 의한 일시적인 혈압 저하로 인해서 어지럼증 등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며, 심장의 문제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냥 체질적인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 심장이 안 좋다기 자율신경계가 충분하게 기능을 하지 못해서 그런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눕거나 앉은 자세에세 일어날 경우 정상적으로 혈압이 일시적으로 하강합니다

    하지만 자율신경계의 작용으로 원상복귀 되는데요. 여기에 문제가 있는 경우 혈압이 많이 하강하거나 잘 회복이 되지 않아서 일시적으로 저혈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어디서 그런 말도안되는 이야기를 적어놨을까요?

    기립성 저혈압은 교감신경이 적절하게 항진되어주지 못해서 생기는거지 심장기능과는 전혀 연관이 없습니다. 어렴풋이 아는 사람이 적은 글일것으로 생각되며 절대 의사가 적은 글은 아닐거라고 생각됩니다.

    눕거나 앉았다가 서면 다리에 혈관이 수축하면서 피가 심장으로 들어오고 이 피를 머리를 보내줘야하는데 다리에 혈관이 수축되지 못해서 생기는 어지러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