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는 우리나라 있는 방식인가요?
24절기는 우리나라만 있는 것인지 궁금하구요.
24절기를 사용하게 된 유래가 혹시 있으면 설명부탁드립니다.
우리만의 기술이면 자랑스러울듯... 넘 잘맞는것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의 명칭은 중국 화북 지방, 그것도 2500년 전인 주나라(周) 당시의 기후를 기준으로 정했다고 하며,
대한민국에는 조선시대부터 도입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다고 합니다.
중국력법은 달의 위상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역일(曆日)을 정해 나간 것에, 태양의 위치에 따른 계절변화를 참작하여 윤달을 둔 태음태양력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역법으로는 계절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특별한 약속하에 입춘·우수·경칩·춘분 등 24기의 입기일(入氣日)을 정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기의 개념은 전 세계 공통이나 24개라는 개수와 명칭,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발상은 중국의 화북지방에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태양력을 보조적으로 사용한 것은 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를 쉽게 체감하기 어려운 괴리감이 있던 문제점 때문으로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해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 어려웠고,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 이와 같은 괴리감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고 따라서 계절의 변화를 쉽게 체감하고 느낄 수 있도록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의 개념은 전 세계 공통이나, 24개라는 개수와 명칭, 그리고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발상은 중국의 화북 지방에서 처음 고안되었다고 합니다. 24절기는 양력 기준이지, 절대로 음력 기준으로 정해진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입추에도 한여름 더위가 이어지는 이유는 음력과 관계가 없다고 합니다. 사실 달력만 자세히 봐도 24절기가 양력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음력 기준인 다른 명절(설날, 추석, 단오, 복날 등)은 양력 날짜가 매년 바뀌는 반면 24절기는 매년 동일한 날짜로 고정되었으며, 4년에 한 번 윤년의 영향을 받아 날짜가 바뀐다 해도 하루 정도만 뒤로 밀리는 것이 전부 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