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팹리스업체가 파운드리업체와 관계를 맺는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반도체 기업을 보면 종합반도체기업이 아니라 팹리스 업체와 위탁 생산을 해주는 파운드리업체로 나뉩니다 그렇다면 팹리스업체와 파운드리업체간의 관계를 맺는 방식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팹리스 업체는 말그대로 팹이 없고 회로 설계만 하는 곳이고, 파운드리 업체에 생산을 위탁하는 형태로 계약이 체결됩니다. 양측의 경우 공정 기술, 생산 일정, 수율 조건 같은 것을 포함해서 비밀유지계약인 NDA와 생산 계약을 맺게 됩니다. 팹리스 업체는 설계 데이터를 제공하고, 파운드리는 이를 바탕으로 제조를 담담하게 되는 것이죠. 기술적인 협업과 신뢰가 중요하기 때문에 장기로 공급 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펩리스라고 하는 것은 설계를 하는 것으로 펩리스회사는 설계전문회사입니다. 이러한 회사는 생산시설이 없어 수주를 외부에 맡겨 반도체를 생산합니다. 그리고 파운드리라고하는 것은 이러한 생산을 하는 업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것은 삼성의 파운드리나 tsmc 등에서 한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들은 상호 연관이 있어 한쪽은 설계를 하고 한쪽은 생산을 하는 등의 상호 협력적인 관계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팹리스 업체는 파운드리 업체를 파트너로 삼아 제품 생산을 위탁하는거죠. 팹리스는 반도체 설계만 담당하고, 파운드리는 팹리스의 설계도를 받아 반도체를 생산하는 역할을 하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주로 팹리스 업체가 파운드리 업체를 찾습니다.

    파운드리 업체는 팹리스 업체가 요청하는 기술적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요구에 맞는 공정을 제안하게 됩니다.

    파운드리 업체는 설계 데이터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고 생산한 제품 팹리스 업체에게 납품하게 됩니다.

    팹리스 업체는 자사 브랜드로 판매를 시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팹리스는 설계와 개발을 담당하고 파운드리는 그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제 칩을 생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양측은 설계 사양, 생산 일정, 품질 기준 등을 협의하고 계약서에 명확히 명시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팹리스 업체와 파운드리 업체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팹리스는 설계만하고, 파운드리는 생산만 하는 역할 분담 모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팹리스 회사는 칩의 설계와 ip를 갖고 있으며 자신들의 설계를 잘 이해하고 각 파운드리가 제공하는 공정 규격을 참고해 설계를 맞춥니다. 이후 파운드리와 생산 계약을 맺고, 얼마만큼의 웨이퍼를 언제, 어떤 공정으로 만들지, 단가와 납기, 품질 기준 등을 협의합니다. 설계가 파운드리 공정에 최적화되도록 중간에 스탠다드 라이브러리, 디자인하우스 같은 디자인가이드 지원, ip라이센스, 테스트패키징 지원도 함께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정리하자면 팹리스와 파운드리 간 관계는 설계 - 생산의 전략적 아웃소싱 계약으로,팹리스는 설계에 집중하고 파운드리는 대량 생산에 집중하는 동시에 PDK, IP, 디자인 도구를 기반으로 협업하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반도체 설계를 해서 해당 설계를 파운드리 업체에 주고 그 업체에서 생산이 가능한지 금액적인 부분은 얼마인지 그렇게 해서 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이렇고 실제로는 설계 사양에 맞쳐서 그에 따른 설계 데이터 검증, 시험 TEST 후 기능 점검 양산 가격등 등 기타 여러가지가 합의하여야지만 계약 관계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팹리스 업체는 반도체 설계만 하고 생산 설비는 없기 때문에 파운드리 업체와 계약을 맺어 칩 생산을 위탁합니다 이때 설계도를 파운드리에 제공하고 공정 조건이나 양산 목표 등을 협의해 생산 일정을 조율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수율 생산 단간 납기 등을 기준으로 계약을 체결하며 장기적인 파트너십 관계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