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미가 없어서 계속 달려야지만이 살수 있는 물고기가 있다는데 어떤건가요?
언젠가 들은 이야기 인데 아가미가 없어서 계속 달려야지만이 숨을 쉴수 있다고 하는데
그 물고기 이름을 잘 모르겠는데 어떤 물고기인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빠르게 계속해서 다녀야지만 호흡을할수있는 종들이 존재하는데, 아가미가 없지는 않습니다.
특수한 아가미를 지니고있어 물을 계속해서 흘려보내기위해 빠르게 다녀야합니다.
참치나 고등어가 이에 속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고등어나 참치, 상어들은 계속 수영을해서 아가미로 물을 흘려보내야 산소를 얻을수있다고합니다.
강제통기라는 방식의 호흡입니다.
아가미는 존재하지만, 다른 물고기들과 다른방식으로 작동합니다.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물고기는 상어류에 속하는 몇몇 종들로, 대표적으로 백상아리와 청상아리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람 환기"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호흡을 하는데, 아가미는 있지만 스스로 물을 펌핑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해 계속 헤엄치며 물을 아가미로 통과시켜야 산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멈추게 되면 산소 공급이 끊겨 생존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빠르게 움직이며 산소가 풍부한 물을 필요로 하는 상어에게 적합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아가미가 없어 계속 달려야 숨을 쉴 수 있는 물고기"는 '천기'(Tautogolabrus adspersus)라는 물고기를 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물고기는 아가미 대신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물속에서 움직여야 합니다. 또한, '개구리물고기'(Lungfish)도 아가미와 폐를 동시에 사용하는 독특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소 부족시 물 밖으로 올라오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고기들은 물속에서의 호흡 방식과 움직임에 특화된 생리적 특성 덕분에 독특한 생존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아가미가 없어서 계속 달려야만 사는 물고기는 없습니다.
혹시 부례가 없기 때문에 계속 헤엄쳐야 하는 물고기라면 상어류가 있습니다.
상어는 부례가 없어 계속 헤엄을 쳐야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그물고기는 청새치 또는 마히마리와 같은 물고기로 추정 됩니다.
이들이 아가미가 없거나 제한적으로 지속적으로 헤엄쳐야 산소를 얻을수 있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