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가 대상을 알기 위해 오감에 의존하는 정도. 오감 각각에 대해.
개는 대상을 인지할때 청각 촉각 후각 미각 시각 등의 감각에 각각 몇프로씩 의존하나요? 코에 50프로 이상 70프로정도라고는 들어봣는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사람도 어떤 사람은 냄새에 민감하고 어떤 사람은 시각 자극에 민감한것처럼 개별적인 차이가 존재하기에
이를 두고 몇프로라고 일반화 할 수 없습니다.
개도 마찬가지여서 견바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지금도 강아지의 청각과 후각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일상 사회 생활 속에서 범죄를 잡는다거나 밀수 마약을 찾아낸다거나 할 때 훈련된 강아지의 후각은 이용한 방법입니다 강아지 후각은 사람에 비해서 몇만배 이상 뛰어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아지가 사람을 알아 보는데도 후각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청각도 많이 도와 줍니다 하지만 시각은 생각보다 미미합니다 사람에 비해 시각은 형편없이 약 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예신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뿐만 아니라 많은 가축들도 보면은 후각을 많이 의지합니다 어미소가 송아지를 찾는 방법도 후각을 많이 사용합니다 보지 않고도 젖을 먹으러 오는 송아지가 자기 송아지인지 다른 송아지인 줄 알고 다른 송아지 일 경우는 젖을 먹지 못하게 발로 차 버립니다 강아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시각은 매우 저조합니다 청각과 후각은 뛰어나지만 시각은 사람에 비해서 매우 약합니다 그중에서 후각은 정말로 뛰어납니다 사람에 비해서 배 천 배 몇 만 배의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각이 주인을 알아 보고 어떤 문제를 파악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