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도롱이
도롱이

세균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생물인가요?

곰팡이는 우리가 음식 특히 빵 같은 곳에 곰팡이가 피었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세균은 맨눈으로 볼 수 있나요? 충치균으로 생기는 충치는 세균이라고 보기는 어렵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곰팡이는 많은 진균이 모여 군집을 이루면서 우리가 볼 수 있을 정도로 넓은 면적을 차지합니다.

    곰팡이의 세포 하나하나도 우리는 맨눈으로 볼 수 없지만 이렇게 군집을 이루어 커지게되면 우리가 곰팡이가 생겼음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세균의 경우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기는 힘들지만, 배양을 할 시 세균도 곰팡이처럼 콜로니를 이루며 눈으로 볼 수 있는 만큼 수가 증식합니다. 세균 하나하나는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지만 이런 콜로니는 많은 세균들이 모여서 볼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집니다.

    충치의 경우 세균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산이 치아를 부식시킨 자리입니다.

    이를 잘 닦지 않을 경우 이나 잇몸에 치태가 생기는데, 이것은 세균들이 많이 증식하여 표면을 뒤덮은 모습입니다.

  • 아니오, 대부분의 세균은 맨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

    세균은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생명체로, 대부분의 종류는 0.2~10 마이크로미터 크기입니다. 인간의 눈 망막의 해상도는 약 0.04 밀리미터이기 때문에 맨눈으로는 0.1 밀리미터보다 작은 물체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세균이 맨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 카리브해 맹그로브 숲에서 발견된 'Thiomargarita namibiensis'라는 세균은 최대 2㎝ 길이까지 자라며, 육안으로도 볼 수 있죠. 이 세균은 다른 세균들과 달리 단일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세포 내부에 황을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세균은 맨눈으로 볼 수 없지만, 일부 예외적인 종류는 육안으로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세균(박테리아)'은 단세포 원핵생물이며 미생물로 분류되는데요, 일반적으로 1~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1 미터)의 크기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단독의 세균을 관찰하기란 어렵습니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해서 관찰하거나, 배양접시에 세균의 집락인 colony를 배양할 경우에는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또한 충치균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라고 하는 연쇄상구균의 일종이며, 이 역시 세균에 속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균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생물은 아닙니다. 세균은 미생물 중 하나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균을 보려면 현미경과 같은 도구가 필요합니다.

    곰팡이는 세균과는 다른 종류의 미생물입니다. 곰팡이는 눈에 보이는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맨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곰팡이는 공기 중에 존재하기 때문에 음식물에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충치는 세균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충치균은 치아의 표면에 존재하며 이 세균이 치아의 표면을 침식시켜 충치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충치는 세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충치는 세균이 원인이 되는 다른 질병과는 달리 치아의 표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맨눈으로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치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구강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세균은 일반적으로 맨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세균은 크기가 0.2~2마이크로미터로 매우 작아 현미경을 통해서만 관찰이 가능합니다. 곰팡이와 달리 세균의 개별 세포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지만, 세균 군집이 충분히 크게 자라면 눈에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치아 표면의 플라크는 여러 종류의 세균으로 구성된 바이오필름으로, 맨눈으로 관찰 가능합니다. 충치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지만, 우리가 보는 충치의 모습은 세균 자체가 아니라 세균의 활동으로 인한 치아 손상의 결과입니다. 따라서 충치균 자체를 맨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그 영향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세균은 맨눈으로 볼 수 없는 미생물로서, 보통은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해야 합니다. 세균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주변에 많이 존재하며, 음식이나 환경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충치는 세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충치균이 치아의 표면에 미네랄을 파괴하여 치아 우식을 유발합니다. 충치균은 치아 위에 있는 치아에 있는 치아의 표면에 살고 있는 세균으로,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