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낮과 밤은 지구에서만 있는 것인가요?

낮과 밤은 지구에서만 있는 것인가요?

지구보다 먼 행성에서는 태양이 흐릿하게 보일텐데요.

이러면 낮과 밤이 없이 하루종일 다른 행성에 의해서 밝을텐데요.

틀린 상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조훈 전문가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낮과 밤은 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에서도 존재하는 현상입니다. 낮과 밤은 행성이 자전하면서 그 행성의 한 면이 태양을 향하게 되고, 반대쪽은 태양으로부터 가려지면서 발생합니다. 이 원리는 지구뿐만 아니라 태양계 내 모든 자전하는 행성에 적용됩니다. 하지만 각 행성에서 경험하는 낮과 밤의 모습과 길이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행성의 자전 속도, 그리고 대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낮과 밤은 태양 빛의 유무에 따라 나뉩니다. 태양을 향한 면이 밝게 빛나서 낮이 되고, 태양으로부터 멀어진 면은 빛을 받지 못해 밤이 됩니다. 지구가 하루 동안 자전하면서 낮과 밤을 경험하는 것처럼, 다른 자전하는 행성들도 태양 빛을 받는 면과 받지 못하는 면이 생겨납니다. 화성은 지구와 비슷한 자전 속도를 가지고 있어, 하루의 길이가 지구와 비슷합니다(약 24시간 37분). 화성에서도 낮과 밤이 존재하며, 태양은 지구에서 보는 것보다 약간 작고 덜 밝게 보이지만 여전히 명확하게 구분되는 낮과 밤을 경험합니다. 태양으로부터 먼 행성에서는 태양이 더 작고 덜 밝게 보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태양 빛을 받는 면은 낮, 반대면은 밤이 됩니다. 명왕성은 태양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지만, 태양은 여전히 작은 별처럼 보이고, 명왕성에서 낮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다만 지구의 낮에 비해 훨씬 어둡고 태양빛이 희미하게 느껴질 것입니다. 태양으로부터 멀수록 낮이 더 어두워지고, 밤은 거의 완전한 어둠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낮과 밤은 구분됩니다. 행성의 대기 상태에 따라서 낮과 밤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금성은 매우 두꺼운 대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빛이 표면에 직접 도달하지 않아 낮과 밤의 구분이 지구만큼 명확하지 않습니다. 금성의 두꺼운 구름층은 태양빛을 차단하거나 반사하기 때문에 낮에도 밝은 빛이 완전히 들어오지 않고, 밤은 완전히 어둡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스 행성들은 대기가 두꺼워 낮과 밤의 구분이 겉보기에는 덜 명확할 수 있지만, 여전히 태양을 기준으로 하는 낮과 밤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