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도 집단적으로 행동하는 경우에 지능이 높아질수 있을까요?
지적 능력이 뛰어난것은 인간만이 누릴수 있는 특권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동물들도 집단으로 먹이사냥을 하고 하는것을 보면 지능이 낮지 않는것 같은데요.
가능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동물들도 개별 행동보다 집단으로 협력할 때 더 높은 수준의 지능적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 개미, 꿀벌, 돌고래, 침팬지처럼 집단지능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생존 전략이 강화되지만, 인간처럼 언어나 문명을 이루는 고도의 추상적 지능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네집단 행동은 동물 지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답니다.
협력, 문제 해결 과정에서 뇌 발달이 촉진될수 있답니다.
동물들도 집단적으로 행동할 때 지능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개별 동물의 지능이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집단 지성 또는 분산 지능과 관련된 현상입니다.
집단 지성은 개별 구성원들이 단순한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함으로써 전체 집단이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이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개미들이 가장 효율적인 먹이 경로를 찾아내거나, 물고기 떼가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것 등이죠. 이러한 행동은 마치 집단 전체가 높은 지능을 가진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각 개체가 제한된 정보를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동물의 집단 행동은 개별 동물의 지적 능력을 초월하는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줄 수 있지만, 이는 인간의 고차원적인 추론, 자의식, 언어 능력과는 다른 종류의 지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동물들은 생존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된 본능과 학습을 통해 집단 행동을 하며, 이를 통해 생존율을 높이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획득하는 것입니다.
동물들의 집단행동은 개별 개체의 지능이 높아지는 것이라기보다는, 단순한 규칙을 따르는 개체들이 모여 복잡하고 효율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집단 지능의 발현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각 개체는 제한된 정보와 능력으로 행동하지만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체적으로는 정교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주며, 이는 개체의 지능 향상과는 다른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