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통신불가로 진료를 왜 못하나요?
병원에 왔는데 인터넷이 안된다면서 인터넷연결까지 진료를 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인터넷이 안되는거와 진료를 못하는게 무슨상관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인터넷이 안되면서 처방프로그램이 안되면, 환자의 정보나 약처방등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가끔 그런일이 있을 수 있는데,,, 차트기록도, 약처방도 안되기 때문에 진료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진료를 하는 것 자체는 의사와 환자가 오프라인으로 하지만 진료 기록을 남기고, 검사를 하여서 결과를 확인하고, 처방을 하여서 처방전을 발급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들은 전산을 통해서 이뤄집니다. 인터넷이 안 된다면 그러한 시스템이 마비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진료를 하기 어려운 것이 맞습니다.
병원의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처방을 하고 진료를 볼수 있습니다. (환자의 차트가 서버로 관리가 되고 처방전이나 각종 서류도 인터넷이 되어야 원무팀에서 출력을 할수 있습니다.) 가령 엑스레이를 찍은것도 인터넷이 되어야 진료실 컴퓨터로 전송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판독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인터넷이 먹통이 되면 병원의 업무가 마비되는 이유가 궁금하시군요. 과거에는 모든 기록이 손으로 작성되고 종이로 보관되었습니다. 심지어 영상도 필름으로 보관했었고, 그래서 환자의 과거 자료나 차트를 찾는 데에 굉장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모든 자료가 전산에 저장됩니다. 진료기록, 영상, 혈액검사 결과 등 모든 자료를 컴퓨터로 조회하게 되었고, 인터넷이 연결되어있지 않으면 서버에 접속할 수 없으니 환자의 모든 자료에 접근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러니 진료가 마비되어버리는 것이지요.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