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4

안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건가요?

안개가 있는 날은 안개가 없는 날에 비해서 정말 멀리 있는 게 아무것도 안 보이더라구요. 안개는 어떤 원리로 인해서 생기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의 발생원인은 수증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습한 공기가

    차가운 수면이나 지면을 만났을때 수증기가 응결하며 앞이 보이지 않게되는 현상입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1.24

    지상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됩니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가 얼게 됩니다.

    이 과정으로 인해 안개가 생깁니다.


  • 안개는 구름과 같이 공기속에 수증기 응결로 만들어지는것으로 하늘에 떠 있으면 구름이라 부르고 땅과 가까이 있으면 안개라 합니다. 주로 온도 변화가 심하고 수증기가 많은 호수, 강, 바다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해가 뜨면 안개가 점차적으로 사라지는 이유는 태양으로 인해 온도가 올라가면서 응결 되었던 물방울이 수증기로 바뀌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