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seo2
seo2

놀이할때 고집이 너무쎈 아이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6살 딸아이가 있는데요

놀이를 할때 규칙같은걸 정할때

고집이 너무 쎕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교육을 시키는게 좋을지에 대해서 방법을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이 센 아이의 경우 혼자 하는 놀이보다는 규칙이 있는 게임 형식의 놀이를 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제멋대로 하는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래 아이들과 역할놀이를 하게 해보세요. 이런 놀이를

      통해 아이는 남의 의견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들의 존재를 인정하는 사회성을 배우게 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놀이를 시작하기 전에 지켜야 될 규칙에 대해서 알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놀이를 하면 자신의 주장을 너무 내세우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더 나아가 놀이를 하면서 규칙을 정하고 놀이를 하는 것임을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린다면 단호하게 고집을 부려서는 안된다 라고 말하여 주시고,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에 대한 명확한 구분을 시켜주시는 것도 필요로 해 보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시되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 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더 나아가 아이가 올바르게 요구했을 때 칭찬을 해주어 행동을 교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급적 아이의 마음에 공감해주며 의사를 존중해 주시되

      위험하거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타협없이 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를 내거나 감정은 최대한 배제하고 무신경하게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원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역지사지로 부모님이 아이처럼 똑같이 행동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때의 기분을 공유해보며 대화하는 겁니다. 대신에 다그치지마시고 따뜻한 대화톤으로 단호하게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규칙은 모든 사람이 같이 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세요

      혼자 스스로 다 정하고 고집을 피우면 다른 친구들도 싫어하고

      같이 놀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여 이해를 시킬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이 쌔다면

      조금 꺽어줄 필요는 있습니다.

      무엇이든 자신의 마음대로 할 수 없음을

      가르쳐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먼저 부모님의 양육 스타일을 한번 점검해 볼필요가 있습니다. 너무 허용적인 경우 아이가 고집이 쎈 경우가 많습니다. 평소에 부모님과 규칙과 약속을 지키는 연습을 꾸준히 해주시고 아이에게 고집을 부린다고 해결이 되지 않음을 인지 시켜부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는 일관성 있는 태도로 훈육을 하는 것이 좋고 적정한 선에서 타협을 하고 협상을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5세부터는 아이들의 자기 주장이 강해지고 자기 중심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에 부모 입장에선 고집이 쎄진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가 지나가면 크면서 좋아지니 너무 걱정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와 놀이할땐 아이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놀이의 중심이 아이가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진짜 위험하거나 안전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안전이나 건강과 관련된것은 절대로 안된다는 일관성과 단호함을 가지고 훈육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고 엄마와의 신뢰가 쌓여 갈등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