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5.07

곤충의 피는 녹색인것인 생각이 납니다

곤충의 피는 녹색인것인 생각이 납니다. 어렸을 때 메뚜기 들을 잡아서 놀 때 곤중의 피는 녹색이구나 하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왜 곤충은 녹색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의 피는 헤모글로빈이 있습니다

    그래서 빨갛습니다

    곤충은 피에 헤모글로빈이ㅜ없어 다른 색 인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포유류와 달리 곤충은 호흡기로 직접 산소를 공급받지 않습니다. 대신, 혈액 내에 산소를 운반하는 데 헤모시안이라는 단백질이 사용됩니다. 포유류와는 달리 곤충의 헤모시안은 구조적으로 다르며, 포유류의 헤모글로빈과는 다른 산소 결합력을 가집니다. 이로 인해 곤충의 혈액은 일반적인 포유류의 혈액보다 더 산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것이 녹색 색소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부 곤충의 피는 녹색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녹색 애벌레나 사슴벌레와 같은 몇몇 곤충은 녹색 혹은 청록색의 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곤충들은 헤모시아닌이라는 황산염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화합물이 피의 색상을 결정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곤충은 붉은색 혹은 갈색의 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철분이나 호박산염과 같은 화합물이 헤모글로빈 단백질과 결합하여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피의 색상은 곤충의 종류나 개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부 곤충의 경우 피의 색상이 청색이나 검은색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의 피가 녹색인 이유는 헤모시아닌이라는 혈색소가 있기 때문입니다. 헤모시아닌은 구리를 이용하여 산소를 운반하는 혈색소로, 곤충 외에도 오징어, 새우와 같은 동물 역시 마찬가지의 이유로 헤모시아닌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곤충의 피 색깔은 초록색이 아니라 노란색이거나 갈색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나 동물의 피가 빨간색인 이유는 혈액안에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이 있어서 적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곤충들은 헤모글로빈말고 다른 것들이 산소를 운반하기 떄문에 색이 다르다고 합니다. 파란색의 피는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시아닌에 구리 성분이 있어서 그렇다고 하고 녹색의 피의 경우 산소를 운반하는 클로로크루오린 철성분이 있어서 산소와 결합하면 녹색을 띤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피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게 있습니다.

    이 헤모글로빈은 주성분이 철분이죠.근데 이 헤모글로빈과 산소가 만나면 빨간색이 됩니다.그래서 사람피가 빨간색인거죠.

    그에 비해 곤충은 피가 초록색이거나, 하얀빛을 냅니다.

    곤충의 몸엔 헤모시아닌 이라는 구리성분이 있습니다.

    이것은 사람과는 다르지만, 산소와 접촉하면 초록색이나 흰색이 됩니다.그래서 곤충의 피가 초록색이나 흰색인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곤충들이 그런것은 아니지만 상당수의 곤충이 초록색 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곤충이 초록색으로 보이는 것은 곤충의 피부에서 붉은색을 흡수하고 보색관계의 녹색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곤충은 몸속에서 식물의 엽록소와 마찬가지로 멜라닌(melanin),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프테린(pterine) 같은 색소화합물을 만들어내기도 하기 때문에 녹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곤충의 피가 노란색이나 초록색인 이뉴는 곤충의 혈액소가 헤모에트린이나 헤모시아닌이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은 혈색소는 원래 무색이지만, 공기중에 노출시 노란색이나 초록색을 띄게 됩니다.

    사람 혈색소의 경우 헤모글로빈으로 붉은 색을 띄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