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검은쥐180
검은쥐180

스테이블 코인은 기술적으로 어떻게 가격을 고정시키는건가요?

테더나 팍스처럼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하는것들은 가격이 변동성이 없고 고정되어있습니다

이러한 고정된가격은 기술적으로 가능한건가요?

또한 발행주체가 단지 거래소일뿐인데 어떻게 달러의 가치를 지닌다고 하면서 데이터를 무한히 찍어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SAMSUNG
      SAMSUNG

      안녕하세요.스테이블 코인은 기술적으로 어떻게 가격을 고정시키는건가요?라고 문의하셨는데요.

      대부분 스테이블 코인이 화폐수량설을 근거로해 발행되고 있습니다.

      화폐 수량설의 기본 의미가 화폐의 수량=물가 즉 인플레이션을 방지하려면 화폐발행을 제한한다라는것인데 스테이블 코인 또한 사용량이 적으면 유통량을 줄이고 사용량이 많으면 유통량을 늘리는것으로 조절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발행하는 테라의경우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 입니다. 수요가 늘어나면 통화량을 늘려서 가격 상승을 억제시키고 반대로 수요가 떨어지면 통화량 축소를 시켜 가격을 올립니다. 테라가 결제될때마다 결제수수료가 발생을 하는데 결제수수료를 루나의 마이너에게 지급을 합니다.루나의 마이너들이 결제수수료를 지급받는대신 테라경제가 축소할경우 담보역할을 해주는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테라의 경우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이 아니기때문에 루나가 담보역할로 테라의 인플레이션 조절에 사용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 영상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듯 합니다.

      국내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 신현성대표 인터뷰 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https://youtu.be/6ujTelAu_k0

    • 안녕하세요. 보통 스테이블 코인은 1달러=1코인으로 고정된 형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스테이블 코인이 가격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은 주로 3가지가 있습니다.

      1. 특정 기관에 달러를 쌓아두고 그만큼 코인을 발행시킨다.

        대표적인 예로 USDT, DigixGold, TrueUSD 같은 스테이블 코인들이 있는데 가치 고정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중앙집중화 방식이 단점으로 적용됩니다.

      2. 스마트 컨트랙트가 암호화폐를 쌓아놓고 그만큼의 코인을 발행한다.

        Dai, Havven같은 스테이블 코인들이 이런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탈중앙화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가격 폭락위험이 존재하며 구조가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자본사용이 단점으로 적용됩니다.

      3. 담보 없이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화폐 공급량을 조절한다.

        Basecoin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에 담보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구조를 가졌고 성장에 대한 믿음을 필요로 강제존버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 고정은 보통 위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KRW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인 krwb는 첫 번째 방법으로 진행이 된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