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미국과의 통화스와프가 어려운 상황에서 '원화 계좌 투자'가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통화스와프를 체결하지 못할 경우 우리나라의 외환 및 환율 리스크는 어떤 구체적 영향을 받을까요? 원화 계좌 투자 방식이 외환시장 안정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까요? 환율 변동 완화 측면에서 어떤 제한이 있을까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는 무엇인가 투자를 하는데 위험이 상당히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내 막대한 투자가 있는 상황에서 통화스와프 부재 시 대규모 달러 조달 부담으로 원화 약세와 더불어 환율 변동성이 커질 위험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통화스와프가 부재한 상황에서는 외화 유동성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원화 계좌 투자가 일정 부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해외 투자자가 직접 달러를 들여오지 않고 원화로 투자할 수 있어 단기적으론 자금 유입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외국인의 투자 심리나 환율 불안이 커질 때 쉽게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는 구조라 완충 장치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외환시장의 안정에는 도움을 주겠지만, 달러 수급 악화나 급격한 환율 변동이 생길 때는 실질적인 대응 수단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한 통화스와프가 체결되지 않는 경우 원화에 대한 평가 절하의 리스크가 계속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개인이라면 일부 자산에 대하여 달러화를 해두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통화 스와프가 체결된다고 하더라도 환율이 일정부분 이하로 떨어지기에는 현재로서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