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생활물가지수가 하반기에 얼마나 더 오를까요?
올해 택시비급격하게 오르고 2분기내에 전기가스요금도 많이 오를거라고 들었는데요. 최근 국내의 필수 생활물가지수가 너무 급하게 상승하는 느낌인데요.
향후 하반기에 이러한 속도가 가파르게 추세를 탈지 그리고 이로인해 향후 소비의 충격은 어느정도로 미칠지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필수 생활물가지수는 최근들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생산 및 유통의 불안정성, 오랜 기간의 저금리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전기, 가스요금 등 필수 생활비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승 속도는 현재와 같이 급격하게 높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정부의 정책적 대응과 금리 정책 등이 일정한 완화 작용을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소비 충격의 정도는 개인의 소비 습관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가계는 생활비 부담이 커질 수 있으며, 이는 소비 활동의 축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 등이 이를 고려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국내의 필수 생활물가지수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생산 및 유통의 어려움,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재난지원금 등의 국가 지원금이 발행되면서 소비가 늘어나고,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도 이러한 상황을 격렬하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하반기까지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하반기 소비의 충격은 일부에서는 크게 느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 가스요금 등의 필수 생활비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지출 부담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가계부채 관리와 소비 패턴 조절 등을 통해 생활비 절약에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정부에서는 인플레이션 대응책으로 다양한 조치를 계획 중이므로 이를 주시하며 대처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이 작년을 시작으로 급격하게 상승하였는데, 특히나 작년 연말의 경우에는 공공재들인 가스요금과 전기요금이 인상되면서 특히나 피부로 느끼게 되는 물가가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실제 인플레이션율은 조금식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달러환율이 하락하고 있으며 기준금리 자체가 높게 형성되어서 소비침체가 발생하고 있어서 이로 인해 향후 인플레이션은 점차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본다면 하반기에는 인플레이션이 점차적으로 하락되어 3%대까지 안정적인 수준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나 한번 오른 가스요금이나 전기요금의 경우에는 내려가지 않다 보니 피부로 느끼는 체감 물가지수는 하락했다고 느끼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만
2022년에 비하여 물가상승률은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나 각종 원자재 요금 등을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