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성형외과

가릭주니어
가릭주니어

결절상선종에대해 궁금해서 질문합나다

성별
남성
나이대
31
기저질환
0
복용중인 약
0

대장선종은 결절상 선종 관상선종으로 구분하나요?

톱니선종 관상선종 용모상선종 으로구분하는지궁금합나나 선종의 종류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종을 더 구체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예후적으로 크게 의미가 있지는 않습니다.


      대장 용종은 대장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여 장의 내부로 돌출되는 상태를 가리키며, 크게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종양성 용종과 암으로 진행하지 않는 비종양성 용종으로 구분됩니다.

      종양성 용종에는 선종, 유암종, 악성 용종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종양성 용종에는 과형성 용종, 용종양 점막, 과오종, 염증성 용종, 지방종 등이 있습니다.

      1. 선종: 선종성 용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서 반드시 제거해야 합니다. 크기가 1cm 이상이거나 현미경 조직 소견에서 융모 형태의 세포가 많이 발견되거나 세포가 덜 분화된 경우에는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진행성 선종으로 분류됩니다.

      2. 과형성 용종: 암으로 진전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선종과 구별하기 어려운 작은 용종은 조직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선종과 과형성 용종이 혼합된 경우 크기가 커지고 세포의 변이가 발생하면 암으로 진전할 수 있습니다.

      3. 염증성 용종: 대장에 염증이 발생하고 치유되는 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암으로 진전하지 않습니다.

      4. 지방종: 대장 점막 아래에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노란색을 띠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집니다. 암으로 진전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5. 유암종: 주로 직장에서 발견되며, 크기가 커지면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어 악성 종양으로 분류됩니다. 작은 유암종은 내시경으로 제거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1. 선종 관상형, 융모형, 관상융모형

      2. 과형성 용종

      3. 무경성톱니모양병변

      4. 염증성용종

      5. 과오종

      이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대장선종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크게 관상선종(tubular adenoma), 융모상선종(villous adenoma), 관융모상선종(tubulovillous adenoma)으로 구분됩니다.

      1. 관상선종(Tubular adenoma): 선와(gland) 구조가 관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가장 흔한 유형으로, 대장선종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2. 융모상선종(Villous adenoma): 선와 구조가 손가락 모양의 융모 구조로 이루어진 형태입니다. 관상선종에 비해 악성화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관융모상선종(Tubulovillous adenoma): 관상 구조와 융모 구조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관상선종과 융모상선종의 중간 정도의 악성화 위험을 가집니다.

      톱니모양선종(Serrated adenoma)은 선종의 특수한 아형으로, 조직학적으로 톱니 모양을 보이는 선종입니다. 기존의 선종-암 경로와는 다른 기전으로 대장암으로 진행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선종의 유형, 크기, 개수 등에 따라 추적 관찰 간격과 치료 방침이 결정되므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위해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