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이 지난 콜라를 좋아합니다. 탄산이 빠져나간 그 맛을 좋아하는 것입니다.
몇일이 지난 콜라를 좋아합니다. 탄산이 빠져나간 그 맛을 좋아하는 것입니다.
탄산수가 몇일이 지나면 미지근해지는 것은 어떤 원리인가요?
콜라만 더욱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에서 탄산 가스는 음료를 따뜻하게 하는 것보다 차가우면서 존재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는 탄산이 물 속에서 가용성이 낮아지면 탄산 가스가 불용성이기 때문입니다. 즉, 탄산음료가 냉장보관 상태에서는 탄산 가스가 용해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가스 거품이 많고 상쾌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탄산 가스는 천천히 음료에서 빠져나가게 되며, 그로 인해 음료의 맛과 거품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탄산음료가 미지근해지는 원리입니다.
콜라도 다른 탄산음료와 같은 원리로 미지근해지게 됩니다. 다만, 콜라의 경우 다른 탄산음료보다도 설탕과 인공감미료 등이 많아 맛이 강하기 때문에,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미각에 대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지근해지는건 주위 온도에 의한 영향입니다. 탄산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탄산의 경우는 개봉을 하여 공기중에 노출을 시키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빠져 나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이산화탄소를 녹인 것이 탄산음료의 베이스입니다. 이 탄산은 물에 많이 녹일 수 없기 때문에 제조사들은 물의 온도를 낮추거나 압력을 높여 강제로 주입합니다. 그래서 개봉 후 시간이 지나면 아주 약간의 탄산만 남고 나머지는 공중으로 사라지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수는 말그대로 물에 탄산을 넣은 것인데요. 뚜껑을 한번 열고 난 뒤부터는 뚜껑을 닫더라도 탄산이 계속 셉니다. 그래서 시간이 계속 흐르면 미지근한 물이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를 만드려면 대기압1보다 큰 3~4의압력을 가해야지만 이산화 탄소가 녹습니다. 그래서 압력을 가하고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음료가 판매 되고 소비가자 뚜껑을 따면 탄산음료 안의 압력이 낮아졌기 때문에 기체의 용해도는 낮아지게 되고, 탄산음료에 강제로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가 음료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 음료는 액체에 대기압 이상의 강한 압력으로 탄산을 강제로 녹여 만들어 냅니다. 그런데 음료를 개봉하면 음료보관통과 대기압은 같아지며 강한 압력에 의해 녹았던 탄산은 대기중으로 천천히 나오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