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거대한나비281
거대한나비281

아침마다 묽은변? 가스차고 형태 없는 변을 보는데 큰병일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30
기저질환
갑상선항진증
복용중인 약
X

아침마다 화장실을 가는데 한 1년정도 된 것 같아요.. 장염 걸린 것 처럼 가스랑 함께 묽은 변? 형태 없는 변을 보구 하루 한번 정도, 많으면 두세번 정도 보는데 화장실을 다녀오고 난 뒤에는 배가 안 아프고 밥만 먹으면 가스가 엄청 차요 ㅠ 누워 있으면 배에서 물내려가는 소리도 많이 들리고.. 변의 모양이 전과 달라 병원에 가봤는데 하루 한번은 설사로 치지 않고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하셔서.. 변의 모양이 물 같은거 빼고는 식욕 아주 왕성하고 몸무게도 동일.. 심지어 더 쪘는데 과민성 대장증후군일까요? 아직 나이가 30이라 대장내시경 생각은 없는데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악성병변의 증상이라는 것이 별게 없습니다

    Predictive values of colorectal cancer alarm symptom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British Journal of Cancer (2019) 120:595–600)

    위 캡처한 자료를 확인하시면 환자분이 말씀하시는 증상이 골고루 나와있습니다.

    결국 환자분 연령에 악성병변은 흔하지 않고 빈도상 과민성대장증후군이 많아서

    그렇지 가능성은 언제나 곳곳에 위험하게 도사리고 있습니다.

    증상이 일시적이지도 않고 지속이 되고 있으니 병원을 방문하셔서 검사하여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후 검사결과 이상이 없으면 식단을 관리하시고 (인스턴트식품 고지방식이 유제품 빵 면 단음식 단음료피하기)

    생활습관 (금주금염) 관리하셔서 경과를 확인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설사형 양상에 가깝습니다. 1년 이상 만성적인 묽은 변을 보셨고, 배변 이후 복통이 완화되며 체중은 유지 또는 증가되는 상황입니다. 식후 가스가 차고 복부 불쾌감이 있는 것도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경과관찰해도 되겠으나 혈변이나 체중감소, 빈혈, 가족 중 대장암 또는 염증성 장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라면 대장내시경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식단 중 양파나 마늘, 유제품, 밀가루 등 가스를 많이 차게 하는 식품은 자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적어주신 증상으로 미루어 기능성 소화장애의 가능성이 생각되며 다른 기저 질환의 배제를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확인을 권합니다.

    과도한 스트레스, 과로, 음주, 흡연, 카페인,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밀가루, 찬 음식 등의 섭취는 증상을 악화 시킬 수 있으므로 피할 것을 권하며 식사 시 천천히 꼭꼭 씹어 먹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며 증상이 심할 때는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지속적인 묽은 변과 잦은 가스, 식후 불편감이 동반된다면 과민성 대장증후군(IBS)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복통이나 불편감이 배변 후에 완화되고, 스트레스나 식사와 관련해서 증상이 악화된다면 가능성이 더 커지죠. 갑상선항진증이 있다면 대사 기능이 활발해지면서 장 운동도 빨라져 묽은 변이 동반될 수 있으나, 현재 갑상선 상태가 안정적이라면 그보다는 장 기능 자체의 민감성 문제일 가능성도 있어 보여요

    30대라고 해도 1년 넘게 증상이 지속되었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최소한 복부 초음파, 혈액검사, 대변검사 같은 비침습적인 기본 검사를 고려해볼 만합니다. 대장내시경이 부담된다면, 가스가 많이 차는 식품(FODMAP 식품 등)을 줄이는 식이요법이나 장내 환경을 조절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스트레스 관리 같은 생활습관 변화로도 증상 완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해지거나 출혈, 체중 감소 같은 경고 증상이 나타나면 나이에 관계없이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