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머쓱한바위새27
머쓱한바위새27

경제적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차이점은 어떤 건가요?

보통 보수와 진보하면 정치권에서밖에 다루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 경제에도 이것과 비슷한게 있더라구요. 2가지 원칙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수우파와 진보좌파라고 하는데 프랑스혁명 이 후 만들어진 말이고요

      왕권을 시민이 갖을때 기존 귀족 자본가 부르주아들은 우파, 시민 노동자들은 좌파가 됩니다

      보수는 자유경쟁으로 성장을 먼저,

      진보는 평등 분배를 생각합니다

      지금 같이 많이 발전한 단계에서 한국인 경우에 빈부격차 재산차이가 약20배나 난다고하고

      [신한은행은 5일 발표한 ‘2022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소득 상위 20%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948만원, 하위 20%는 181만원이다. 가구를 소득별로 20%씩 다섯 구간으로 나눴을 때 가장 높은 5구간 소득과 1구간의 소득 배율은 5.23배였다. 같은 조사가 시작된 2016년 이래 최고치다.]

      월소득 또한 5배가 차이나는 이 때에

      최저시급을 올리자가 좌파고 올리면 안된다가 우파입니다

      그래서 기업 자영업자먼저가 우파

      노동자먼저가 좌파

      최저시급을 올리면 대부분이 노동자인 나라에서 소득이 늘면 소비를 하는자들이 늘어나기때문에

      내수경제가 사는 거고요-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는 것

      기업에 투자하고 기업이 잘살아야 사업에 재투자하고 고용을 늘린다의 낙수효과를 말하는 것이 있죠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

      한국은 위에서보시다시피 소득불균형이 엄청나기 때문에 (대부분 보수정권이었습니다)

      노동자의 인권, 소득, 근로시간, 워라벨등을 생각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진보주의자들은 세율을 올려 소득 분배를 늘림으로써 평등한 결과를 현실화하려고 한다. 반면 보수주의자는 기회의 평등을 지지하면서도 결과의 불평등에 대해서는 상관없다고 여긴다. 보수주의자는 기회의 평등(평등주의)을 지지하면서도 결과의 불평등에 대해서는(기회의 평등이 담보되어 있는 한) 상관없다고 여긴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차이점을 살펴본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먼저, 보수주의를 살펴본다면 정부의 권력의 범위가 제한되어 개인이 자유로운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정부가 최소한으로 시장에 개입하여 규제가 없는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추구하며 정부의 지원이나 개입에 의존보다는 개인들이 본인들의 삶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판단합니다.

      이에 반해서 진보주의의 경우에는 정부가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가지도록 하며 사회의 소득 재분배나 사회의 평등성등을 강조하게 됩니다. 그리고 공공 복지 제도를 지향하게 되면서 사회적으로 취약한 이들에 대한 보호와 지원을 강조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 진보주의와 보수주의는 경제 체제에 대한 태도나 사상 등을 의미합니다. 경제적 진보주의는 경제적인 불평등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나 사상 등을 의미하며, 반대 개념으로는 경제적 보수주의가 있습니다.

      경제적 보수주의는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옹호하며 정부의 간섭과 규제를 최소화하여 구성원 개인이 발전하면 사회 전체도 나아진다는 생각을 갖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 진보주의 (Economic Progressivism) 이란 경제적인 불평등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사상에 반대하는 개념이 경제적 보수주의 (Economic Conservatism) 으로 재정 정책 등에 있어서 정부가 지출과 부채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것이 경제적 보수주의자들의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