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가족중심의 개념을 강요를 해야하나요?
이제 아이들이 초3 2 정도 되니 스스로의 생각이나 결정도 잘합니다.
지난 토요일에 친구부부 두쌍과 키즈펜션을 당일치기로 다녀왔는데
큰아이는 담주가 태권도 심사이고 할것도 많으니 안가겠다고 딱 잘라서 이야기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러라고 하고는 둘째만 데리고 다녀왔는데
첫째가 늦게까지 친구들과 재미있게 잘놀았다고 하길래 안심은 했지만
가족과 함께해야한다는 인식을 심어줘야할지
아니면 원하는대로 해줘야할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자기생각이나 주장을 펼치는 경우는 자연스러운
성장과정입니다. 이때 부모의 생각을 아이에게 강요하는 것보다 조율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라 독립적인 인격체입니다.
아이들의 활동도 존중해주시되 아이들에게 가족 등의 활동도 중요함을 인식시켜주면서
서로 배려하는 모습을 모색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끔은 친구도 좋지만
이 세상에서 우리가족의 사랑과
신뢰가 가장 제일이라는 것을
알려주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친구도 좋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임을
인지시켜주시는 교육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을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가족의 행사, 즉 조부모님의 생신 등은 꼭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가족이 놀러 갈 땐 부모님이 일방적으로 정하기 보다는 아이들과 함께 짜 보는 것도 아이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취학 시기까지는 거의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지만,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난 이후부터는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간을 갖는 것을 대부분 좋아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약속을 정할 땐 아이들의 의견도 중요하므로 계획을 세울 땐 항상 아이에게 먼저 물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