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청렴한상사조45
청렴한상사조4522.12.11

콜라는 왜 멘토스와 만나면 폭발하나요?

유튜브를 보다보면 가끔씩 콜라에 맨토스를 넣고 기다리면 폭발하는 영상을 볼 수 있는데요. 어떠한 원리 때문에 콜라와 멘토스가 만나면 폭발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미국 애팔래치아대 토냐 코피(Coffey) 교수는 '아메리칸 저널 오브 피직스(American Journal of Physics)'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멘토스가 콜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분출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콜라가 뿜어져 나온 것은 그 안에 녹아있던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콜라 뚜껑을 열면 '쉭' 소리를 내며 이산화탄소가 밖으로 나온다. 평소에는 물 분자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표면장력이 강력해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는 속도가 느리다.

    하지만 멘토스가 콜라에 빠지면 상황이 달라진다. 멘토스가 물 분자들의 결합을 방해해 이산화탄소 거품이 쉽게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멘토스 표면에 있는 아라비아 고무도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는 데 한몫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라비아 고무가 없는 멘토스는 큰 거품을 만들지 못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멘토스의 표면에는 수많은 홈이 나있었다. 여기에 이산화탄소 분자들이 달라붙어 거품이 된다. 이른바 '표면 촉매' 현상이다. 멘토스 가루나 소금도 거품을 만들어내지만 가라앉는 속도가 느리고 홈이 적어 콜라 거품이 30㎝ 높이로만 솟았다.

    출처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6/16/2008061601435.html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를 구성하는 아라비아 검 성분과 콜라의 탄산염이 만나게되면 화학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지게됩니다.


    특히 멘토스의 구멍이 많은 다공성 성질때문에 이러한 효과는 극대화되어 순간 폭발적인 이산화탄소 분출이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


  • 멘토스가 콜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분출되게 만듭니다.

    콜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갑자기 뿜어져 나오게 되는 것인데,

    원래의 물 분자들의 표면 장력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는 속도가 느립니다.

    그런데 멘토스가 물 분자의 결합을 방해하므로 이산화탄소 거품이 펑 하고 터지는 것입니다.

    멘토스 표면의 아라비아 고무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요즘 유투브를 보면 많이 나오는 실험입니다. 멘토스의 경우 콜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서 콜라에 녹아있던 탄산을 빠르게 분리하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촉매제 같은 역활이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콜라가 병에서 폭발하는 것처럼 뿜어져 나오는데요.


    왜 멘토스를 넣으면 폭발하는 것처럼 뿜어져 나오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멘토스가 콜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서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분출되기 때문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는 다공질 사탕이라 할 수 있고, 표면은 아라비아 고무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고무성분과 콜라의 탄산이 만나면 급격하게 CO2분리 현상이 발생합니다.

    더군다나 앞서 언급했듯 멘토스는 다공성이기에 반응 표면적이 넓어서 더욱 더 폭발적으로 반응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화학작용에 의한 부분은 아닙니다.

    쉽게 말씀드려서 탄산은 표면이 거친 물체가 있으면

    그 물체표면에 달라 붙으면서 점점 커지게 되고 우리가 눈에 보이는 탄산이 올라 옵니다.

    탄산수 온천이나 욕탕에 들어가 보시면 우리몸에 기포가 점점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맨토스가 들어가게 되면 맨토스의 거친 표면(우리 눈으로 봤을때와 현미경으로 봤을때 차이가 많습니다.)

    에 의해 순식간에 탄산에 모이게 되고 이게 분출되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세히 설명된 블로그가 있어서 링크 첨부합니다.

    https://blog.naver.com/thewiseclub1/222005891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