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우람한스컹크183
우람한스컹크18319.12.07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이 무엇인가요?

나이가 들면 찾아오는 갱년기는 노화가되면서 찾아오기때문에 인간이라면 피할 수 없는데 갱년기에는 어떠한 증상들이 나타나게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갱년기 증상 알려드립니다.

    • 자신감 결여

    평소보다 자신감이 결여되고 의욕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보다는 우울감도 들게 되는 것이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 건조와 노화

    피부가 건조해지는것을 시작으로 갱년기에 접어들게 되면 피부가 노화되기 시작하는데요. 이 때 급격하게 노화가 진행 되기 때문에 미리 관리를 충분히 하셔야합니다.

    • 의욕 감퇴

    피로감을 느끼는 것을 물론이고 사회활동이나, 사람을만나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데요. 이는 급격하게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도 있고, 의욕이 많이 감퇴되기 때문입니다.

    • 식은땀

    일반적으로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과 갱년기 증상의 식은땀은 많이 다른데요. 인체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식은땀이 많이 나게 되고 몸살이나 오한을 동반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 안면 홍조, 핫 플래시

    갱년기 증상 중 가장 대표적인 것들로 얼굴에 열이나거나 땀이 많이 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불면증을 겪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잠에서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배뇨 문제

    갱년기가 찾아오게 되면 배뇨기관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요 오줌이 방광에 차 있지도 않은데 계속 화장실이 가고 싶다던지 하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 피로감

    돌덩이나, 짐을 어깨에 메고 있는 것 처럼 굉장히 피로해지고 이로 인해서 사람자체가 무기력 하게 될 수 있는데요. 이러한 갱년기 증상들은 혈액 순환 장애와 간 기능 저하등의 문제로 발생되는 문제들입니다.

    • 현기증

    일상생활을 누리는데 불편할 정도로 현기증이 찾아오고 속이 빈상태라도 헛 구역질을 하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많이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 생리

    폐경기를 기점으로 생리가 멈추게 되는데요 남자의 경우에는 생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구분이 어렵긴 하지만 점차 의욕이 줄어들게 되고 조금만 일 해도 굉장히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손발이 저림

    손발이 저리게 되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데요. 충분히 마사지를 해주시는 것이 좋고 꼭 장소와 시간과 관계없이 지압을 천천히 해주시는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50대를 전후해 갱년기 증상을 경험한다. 테스토스테론 또는 에스트로겐이라는 남성·여성호르몬 등이 감소해 성욕·성기능·체모 감소, 근력·집중력·자신감 저하, 안면홍조, 만성피로, 신경질·우울·불면증, 관절통·피부노화 등을 겪는다. 복부비만·고혈압·당뇨병과 심뇌혈관질환·골다공증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사망 위험도 높아진다

    남상댕년기는 소설책을 볼 때도 집중이 잘 안 되고 읽고 나도 기억이 안 납니다” “운동을 열심히 하고 먹는 양도 비슷한데 배만 나오고 팔다리에 힘도 없어지는 것 같아요.” 멀쩡해 보이는 40~50대 남성들이 병원을 찾거나 주위 사람들과의 술자리에서 자주 늘어놓는 푸념이다. 남성 갱년기의 대표적 증상들이다.

    생리가 사라지는 폐경 이후 1년 정도까지 4~7년가량을 일컫는다.
    갱년기 증상은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다. 10명 중 5에서6명은 땀이 많아지고 안면홍조·빈맥 등 급성 여성호르몬 결핍 증상을, 3명 중 1명은 피로·우울·불안·수면장애, 기억력 감퇴, 요실금 등 좀 더 심한 증상을 겪는다. 관절통·두통·어지러움·유방통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갱년기 여성은 1에서2년마다 유방 검진, 부인과 진찰, 필요 시 골밀도 검사 등을 받는 것이 좋다.


  • 저도 제 배우자가 갱년기가 왔을 때 본인 뿐 아니라 가족들이 다같이 힘들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이성이 감정을 억누르지 못해 서로에게 상처가 되는 언행도 본인의 생각과는 다르게 표현되기도 했던 것 같구요.

    약물치료도 중요하지만 가족들의 따뜻한 관심과 진심어린 대화가 가장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여성은 폐경에 앞서 5~10년간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는데 이 때를 갱년기라 한다.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는 이유는 뇌하수체에서 난포자극호르몬이나 황체호르몬을 내려 보내도 난소가 예전처럼 즉각즉각 반응해서 호르몬을 생산하지 않기 때문이다. 보통 40대 중반쯤 갱년기가 시작된다.

    갱년기, 즉 폐경이 되기 5년쯤 전부터 폐경 후 1년 정도는 여성에게 가장 괴로운 시기다.

    우선 얼굴과 가슴, 팔 등이 빨개지면서 화끈 달아 오르고 가슴도 두근두근 뛰어 고통을 받게 된다.

    체중이 불어나면서 ‘진짜 아줌마(?)’ 체형으로 변하며, 피부가 건조해져 주름살이 지며, 질이 건조해 지고 질 점막이 약화돼 성교시 통증이 생기게 된다.

    요로감염도 쉽게 생기고,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며 아프고, 잠자리에서 식은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꾸 불안하고 두려운 느낌이 들어 남편이나 자녀에게 신경질을 많이 부리며, 변덕이 죽 끓듯 해지기도 한다. 이성적으로 아무리 자기 감정을 제어하려 해도 도대체 스스로를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우울감이 심화돼 우울증에 빠져드는 경우도 많다. 인생의 사추기(思秋期)에 나타나는 이같은 증상을 ‘갱년기 증후군’이라 한다.

    막상 폐경이 되고 나면 이같은 극심한 감정의 변화는 다시 정상을 찾게 되고 안면홍조 같은 신체 증상도 훨씬 완화되지만,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낮아져 골다공증이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심장병이나 뇌졸중 등의 위험도 폐경 전보다 2~3배 높아지게 된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일부발췌 : http://m.health.chosun.com/column/columnview.jsp?idx=326&ref=no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