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용감한나방218
용감한나방218

항온동물은 어떠한 원리로 계속 온도를 유지하나요?

항온동물은 신체내부에서 어떠한 원리로 계속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건가요? 신체내에서 중요하게 온도를 유지하게 세포나 반응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항온동물 또는 온혈동물(hemeotherms)은 외부 환경 온도에 관계없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능력은 체온 조절 기작(thermoregulation)에 의해 이루어지며, 주로 대사적, 생리적 반응과 신경 조절에 의해 조정됩니다. 체온은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중요한 생화학적 반응과 세포들은 다양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신체의 에너지 대사 및 열 생산과 관련이 있습니다.
    항온동물은 내부 대사 과정(Metabolism)을 통해 열을 발생시킵니다. 특히, 세포 호흡(cellular respiration)은 주요한 열 생산 과정입니다. 세포 호흡은 영양소를 산화하여 ATP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 에너지의 일부가 열로 변환되어 체온을 유지하는데 사용됩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이 과정은 체온 유지의 핵심 기작입니다. 또한, 특정 조직(갈색지방세포, brown adipose tissue)은 열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비떨림 열 발생(non-shivering thermogenesis)이라고 합니다.
    갈색지방세포는 항온동물의 체온 조절에 있어 중요한 세포입니다. 이 세포는 일반적인 백색지방세포와 달리 열을 직접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갈색지방세포에는 다량의 미토콘드리아가 포함되어 있어, 탈공역 산화반응(uncoupled oxidative phosphorylation)을 통해 ATP를 생산하지 않고 열을 방출합니다. 이 과정은 UCP-1(탈공역 단백질 1, uncoupling protein 1)이라는 단백질이 관여하며, 갈색지방세포는 주로 추운 환경에서 활성화됩니다.

  • 항온동물은 외부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동물로 인간을 포함하여 포유류와 조류가 대표적인 항온동물이죠.

    이런 항온동물의 체온 유지는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열 생산과 열 손실 조절입니다.

    모든 생명체는 살아가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합니다. 특히, 항온동물은 기초대사율이 높아 다른 동물보다 더 많은 열을 생산하게 됩니다. 또 떨림이나 운동 등의 근육 활동은 열을 발생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추울 때 몸을 떨거나 운동을 하면 따뜻해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특히 포유류의 경우, 갈색지방이라는 특수한 지방 조직이 존재하는데, 갈색지방은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하여 지방을 태워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열 손실 조절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보통 혈관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 흐름을 조절하여 체내 열 분포를 조절합니다. 즉, 추울 때는 혈관이 수축되어 체온을 유지하고, 더울 때는 혈관이 확장되어 열을 방출하는 것입니다. 또 땀을 흘려 증발열을 이용하여 체온을 낮추고, 털이나 깃털은 단열재 역할을 하여 체온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 항온동물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신체 내부에서 신진대사를 통해 열을 생성하고, 이를 조절하는 다양한 기전을 사용합니다. 주요 원리로는 시상하부가 체온을 감지하고, 필요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거나 방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열 발생은 주로 세포의 대사작용, 특히 근육에서의 떨림과 갈색 지방세포의 비화학적 열 생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또한, 혈관의 수축과 확장을 통해 열 방출을 조절하고, 땀을 통해 체온을 낮추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항온동물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먼저, 음식을 통해 얻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체내에서 열을 만듭니다. 이 과정은 대사라고 하는데 세포가 영양분을 분해하면서 열이 발생해요.

    만약에 추운 환경에 있을 때는 근육이 떨려서 열을 더 많이 만들어냅니다. 또, 갈색지방이라는 특별한 지방이 에너지를 열로 바꿔 체온을 높여줍니다.

    체온을 조절하는 데는 뇌의 시상하부가 중요한 역할을 하구요. 이곳은 현재 체온을 감지하고, 필요에 따라 몸이 열을 더 만들거나 방출하도록 신호를 보냅니다. 예를 들어서 더워지면 땀을 흘리게 하고, 추워지면 혈관을 수축시켜 열 손실을 줄여주죠.

    이렇게 여러 과정이 함께 작용해 항온동물은 체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거에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항온동물은 더울 땐 땀을 흘리거나 열을 발산해 체온을 낮추고, 추울 땐 섭취한 음식물에서 열을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포도당을 산화시켜 ATP로 에너지를 저장할때 일부 에너지는 열로 발산되면서 체온을 유지하게 됩니다. 또한 근육에 의한 떨림과 혈액의 비열도 체온유지에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