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철저한딩고76
철저한딩고7623.10.20

금리가 동결이 된 것이 앞으로의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이번에도 금리가 동결이 되었다고 발표가 되었는데 이러한 결정이 나게 된 이유와 앞으로의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다르게 가계 빚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쉽게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게 된다면 기준금리 차이로 인해 외화 유출로 인한 환율 상승이 우려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동결은 대부분 예상을 하고 있었던 부분인데,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동결한 것은 우리나라의 부채 수준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경우 금리 격차 심화로 인해서 달러환율이 급격하게 상승할 우려가 있는데, 이로 인해서 우리나라는 기준금리는 동결했지만 시장금리는 상승하게 되면서 부채로 인한 리스크가 격발 될 가능성이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학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계속 금리를 높이다 최근 좀 주춤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금리 상승이 미국보다 높지않고 한미 금리차도 역전이 되었습니다.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동결한 것은 가계부채가 큰 영향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부동산 대출이 많다보니 금리 정책을 잘못 사용하면 가계부채문제가 터져서 경제 위기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동결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국은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가계대출이 상대적으로 많아 금리를 못올리고 있습니다. 다른나라에 비해 금리차가 크게 나면 자본유출로 원화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동결되었다고 하여 어떤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이러한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 된다면 전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 기업들 자본조달비용이 고정되고,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비용이 증가하지않아 더힘들어지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동결로 인하여 가계부채 및 기업들의

    대출 등에 있어서 부담감은 덜었지만 향후

    달러 강세가 지속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미국과의 금리차가 2% 상황을 유지하는게 국가경제차원에서 쉽지가 않습니다. 시장의 유동성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으며, 이에 기업들의 성장세 또한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자니 기업 및 가계 부채리스크를 감수해야하는 상황으로 현재 한국 경제는 진퇴양난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말에 미국의 기준금리 결정을 지켜봐야할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