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과거 유럽에서도 조공책봉관계형태가 있던국가도 있었을까요?
동아시아에선 중국중심으로 여러나라사이에서 조공 책봉관계가 있었는데요.
그렇다면 과거 유럽에서도 이러한 조공 책봉관계가 있던국가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시아의 중국과 주변국과의 조공책봉과 같이 똑같은 형태는 아니지만 중세 유럽에서도 유사한 관계가 존재했습니다.
4세기 게르만족, 9세기 노르만족의 이동으로 서유럽 사회는 매우 혼란했습니다. 이 혼란 와중에 기사들은 주군과 봉신의 중첩적인 주종관계를 맺어,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였습니다. 또한 정치적 지배권의 최고위직인 신성 로마 황제는 종교적 수장인 교황으로부터 황제의 대관을 받아 세속권을 위임받아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중국의 책봉과 유사한 모양새입니다. 물론 황제는 헌금, 공물 형태로 조공을 납부합니다. 그리고 황제는 제국내 제후들과도 같은 형식으로 군사적 충성과 공납의 댓가로 공작, 백작 등 지위로 영지를 지배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중세 서유럽에서도 아시아의 조공 책봉 관계가 존재했다고 반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