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갸름한왕나비141
갸름한왕나비141

Turnkey base system과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 와 Underdeck stowage이3가지 어떤내용?

Turnkey base system과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 와 Underdeck stowage이3가지 어떤내용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문의주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1. Turnkey base system

      : 플랜트 수출에서 사용되는 수주방식 중 하나에 해당하며 열쇠만 돌리면 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인도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

      : 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는 컨테이너 회전율이라 부르며, 컨테이너가 특정 구간을 출발-도착하는 회수를 말합니다.

      3. Underdeck stowage

      : Underdeck stowage는 선창적재를 말하며 말 그대로 선창 내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선창은 쉽게 화물을 적재하는 선박 내 창고라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Turnkey base system는 흔히 턴키 즉, '열쇠(key)'를 '돌리면(turn)' 모든 설비가 가동되는 상태로 인도한다는 뜻으로 건설업체가 공사를 진행할 때 설계에서부터 시공, 기기조달 등 모든 설계시공을 일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은 컨테이너 회전율을 말하는데, 컨테이너가 일정한 기간내에 특정지점에서 출발해서 동일지점에 돌아오는 동작을 되풀이하는 회수를 나타내는 말로 쓰여진다고 합니다.

      Underdeck stowage는 선창적재를 뜻하는데, 선박내 창고안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Turnkey base system

      시공업자가 건설공사에 대한 재원 조달, 토지 구매, 설계와 시공, 운전 등의 모든 서비스를 발주자를 위해 제공하는 방식

      2. 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

      컨테이너 회전율

      3. Underdeck stowage

      선박내 창고안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 원칙적으로 화물은 선창에 적재되어야 함.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Turnkey base system이란 플랜트 수출이나 해외건설공사 등에서의 수주방식 중 하나. 키(열쇠)만 돌리면 설비나 공장을 곧바로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인도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는 컨테이너 회전율을 뜻합니다.

      Under Deck Stowage 선창적재로, 선박내 창고안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입니다. 다만 일부 관습적으로 선창에 적재하지 않는 물품들의 경우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Turnkey Base System : 일괄수주계약으로서 플랜트 수출이나 해외건설공사 등에서의 수주방식 중 하나이며 키(열쇠)만 돌리면 설비나 공장을 곧바로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인도한다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Turn Around Factor of Container : 컨테이너 회전율로서 컨테니어가 일정한 기간내에 특정지점에서 출발하여 동일지점에 돌아오는 동작을 되풀이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Under Deck Stowage : 선창내 적재로서 화물을 창내에 적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상화물은 창내에 적재되고 위험물이나 동물과 같은 특화물만 갑판 위에 적재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Turnkey base system플랜트 수출이나 해외건설공사 등에서의 수주방식 중 하나. 키(열쇠)만 돌리면 설비나 공장을 곧바로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인도한다는 것에서 유래. 일괄수주계약이라고도 하며, 시공자가 조사, 설계에서부터 기기조달, 건설, 시운전 등 전과정을 맡게됩니다.

      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은 컨테이너가 터미널에 도착한 후 출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Turnaround factor가 낮을수록 컨테이너가 더 빨리 처리되고 운송될 수 있습니다. Turnaround factor는 터미널의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Underdeck stowage는 컨테이너를 선박의 갑판 아래에 쌓는 방법입니다. Underdeck stowage는 선박의 용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컨테이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Turnkey base system은 플랜트나 해외건설공사 등에서 주로 활용 되는 시스템으로 일괄수주계약이라고도 하며, 시공자가 조사, 설계에서부터 기기조달, 건설, 시운전등 전과정을 맡아 시행 하고 완성 후 운행을 할 수 있는 키만 전달하여 완료 되는 방식입니다. 인력이 부족한 중동국가들로부터의 플랜트 상담이 대부분 턴 키 방식으로 이뤄진다고 합니다

      Underdeck stowage 은 화물이 선박내 창내 적재된 상태인 경우로 일반적으로 창내 적재되는 화물과 대비 되어 위험물은 선박의 갑판에 적재 된다고 합니다

      Turnaround factor of container 는컨테이너/기기가 일정한 기간내에 특정지점에서 출발하여 동일 지점에 돌아오는 동작을 되풀이 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말로 일반 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