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조용한때까치152
조용한때까치152

오로라의 색상이 달라는지 이유?

극지방으로 가면 운좋게 오로라를 볼수 있는데요. 오로라의 색깔도 여러 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오로라의 색깔이 다른 이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극지방에서 오로라를 볼 수 있는 것은 정말 행운이에요.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극지방에서만 볼 수 있답니다.

    오로라의 색깔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주로 녹색, 붉은색, 보라색 등이 있어요. 이 색깔의 차이는 오로라를 구성하는 입자의 종류와 에너지에 따라 달라지는 거죠. 녹색 오로라는 산소 입자와 태양풍이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고, 붉은색 오로라는 질소 입자와 태양풍이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요. 보라색 오로라는 산소와 질소가 섞여 있을 때 발생하는데, 이때는 태양풍의 에너지가 높고 강한 고도에서 나타나요.

    오로라의 색깔이 다른 이유는 입자의 에너지와 고도 때문이에요. 산소와 질소 입자는 각각 다른 에너지와 고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다른 색깔의 오로라가 나타나는 거죠. 그리고 태양풍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서도 오로라의 색깔이 달라질 수 있어요.

    오로라는 아름다운 현상이에요. 다양한 색깔의 오로라를 보면서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면 더욱 흥미로워지는 거 같아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 오는 방사선이 대기 중에 물질을 전리시켜 가지고 나오는 에너지입니다.

    주로 산소 부딪혔을 경우에는 빨간색을 나타내게 되고 질소와 부딪혔을 경우에는 분홍색이나 노란색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공기 중에 어떤 원자와 방사선이 부딪혔는지에 따라서 색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풍의 입자는 자기장 라인을 따라 극 대기의 상층으로 침투해 그곳에서 공기 중의 산소 및 질소 분자와 충돌합니다.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으로 방출됩니다.

    즉, 산소 원자에서 나오는 녹색 및 빨간색 빛, 질소 원자에서 나오는 파란색 및 보라색 빛입니다. 그 결과가 오로라입니다. 일반적으로 녹색을 띤 북극광은 약 100km 고도에서 나타나고 붉은색을 띤 북극광은 지표면에서 약 200km 높이에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