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를 할때 때로는 무관심이 필요하다고 하는 이유는?
아이를 키우면서 하나하나 다 신경이쓰이고 관심을 가지는게 아닌 때로는 무관심해야 한다고 하던데
왜 그런건가요? 어떤 경우에서 무관심이 필요한거죠?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말을 지나치게 관심을 갖고 지적하게 된다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계속 자신의 행동이 통제를 받게 된다면 아이는 자율성 사고를 하는 것이 힘들고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관심을 받기 위한 행동으로 부정적인 행동을 할 때는
아이의 행동을 소거하기 위해서라도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위험한 행동이 아닌 경우라면 아이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도 효과적인 양육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무관심이라는 단어 자체로는 부정적인 느낌을 주지만 육아에서는 적당한 거리두기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과정에서 부모가 지나치게 개입하거나 간섭하면 오히려 아이의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하나 하나 다 신경쓰고 관심을 가져다 주면 아이는 부모에게 의존성이 높아지고 독립심을 기를 수가 없게 됩니다.
즉, 아이의 독립심을 위해서 때로는 무관심도 필요로 합니다.
또한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과 직접 부딪히고 경험을 해보면서 왜 잘못 되었는지, 왜 실패를 하게 되었는지 아이 직접 스스로 깨닫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도와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 입니다.
아이와 애착을 형성하고 안정감을 주는 것은 부모의 역할 이지만 그렇다고 많은 관심은 아이에게 부담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적당한 관심으로 아이와 부모간의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의 경우에는 부모님의 관심이 필요한게 맞습니다. 성장은 잘 하는지 위험하진 않는지, 건강상 문제는 없는지 등 확인을 해주셔야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혼자 놀이를 하거나 공부를 할때에는 무관심 해주셔야 됩니다. 이 경우에도 부모님께서 간섭을 한다면 혼자서 할 수 있는게 거의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가 자기 주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부모님께서 무관심 하시는것도 노력이 필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자율성을 키워주기 위해서
부모님이 즉각 개입하지 않는다는 의미 입니다.
예를 들어 숙제나 방청소 같은경이 일상적인 일들에 관한 경우 계속 간섭하기 보다는
스스로 할 수 있게 끔 기회를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는 아에 신경을 쓰지 않거나 사랑을 주지 않는 다는 말은 아닙니다.ㅎ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육아에서 무관심이 필요한 이유는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독립성을 기를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과도한 개입이나 보호는 아이의 자립심과 문제 해결 능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거리감을 유지하면 아이가 스스로 경험하고 배우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자신감을 키우고 사회적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혼자서 책을 읽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즐겁게 놀이를 할때 , 스스로 밥을 잘먹거나, 옷을 입는 것을 스스로 결정할때, 등 스스로 해결할수 있는 일이라면 부모님께서 무관심해도 좋습니다. 이런경우 무관심해야 하는 이유는 아이의 자율성과 창의력을 존중하고 발휘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며 놀이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함에 있어 상상력, 창의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능력을 배우며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를 하면서 아이들이 습관이 되는 데에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보다는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습관이 되도록 무관심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실 경우에 따라 다른데요. 정석대로 생각하자면 육아 할 때에는 꼼꼼하게 하나씩 다 챙겨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만 신경 써야 할 부분이 굉장히 많은 상황이 대부분일텐데요. 그냥 넘어가도 되는 사소한 육아의 한 부분들을 일일이 하나씩 모두 다 완벽하게 챙겨 보려 하는 생각들이 육아를 더욱 어렵게 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육아에서 무관심이 필요한 이유는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독립적으로 성장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입니다. 지나치게 개입하면 자율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무관심은 아이가 스스로 도전하고 배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