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하얀고슴도치236
하얀고슴도치23622.11.22

의학적으로 볼 때 입으로 숨쉬는게 안좋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나이
3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의학적으로 볼 때 입으로 숨쉬는게 안좋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코로 숨쉬어야지 입으로 숨쉬면 안된다는 얘기를 어디서 봣는데요. 이게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네, 호흡을 할때 코의 기능이 분명히 있습니다. 콧털이 있는 이유는 이물질을 걸러주고 가습을 해주는 기능입니다.

    그래서 코로 숨을 들이마시면 습도가 올라간 상태로 들이마시게 되는데 입으로 들이마시면 더 건조한 공기를 마시게 됩니다.

    결국 이물질도 많이 들이마시게 되고 호흡기도 건조하게 되니까 감염에도 취약하게 되겠습니다.


  • 입으로 숨을 쉬면 구강 내부가 쉽게 건조해질 수 있기 때문에 만성적인 인후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좋긴 하겠습니다. 다만 구강으로 숨을 쉰다고 하여서 솔직히 건강 상에 큰 문제가 생기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입으로 숨을 쉬게 되면 코털을 통해 이물질이나 먼지가 걸러지지 않기 때문에 해롭고 입안이 건조한 상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우리는 1분에 12~20회 정도 숨을 쉽니다. 의식하지 않아도 알아서 숨을 쉬지요. 대부분의 호흡은 코로 하게 됩니다. 의식적으로 숨을 쉬는 경우가 아니라면 입으로 숨을 쉬지는 않아요. 문제는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는 코로 숨을 못 쉬는 경우입니다. 코가 막혔다는 것이지요. 코 점막과 비교하여 입으로 숨을 쉬게 되면 쉽게 입이 마르기도 하구요. 결국 입냄새나 충치의 원인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입으로 숨 쉬는 것의 문제는 코가 막힌 상황이라는 것과 입이 자주 마른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