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화끈한도마뱀93
화끈한도마뱀93

침엽수는 무엇을 말하며 왜 나뭇잎이안떨어지나요?

침엽수는 소나무 이런것들 말하는게 맞나요??

왜 침엽수라고 하나요?? 침엽수는 겨울에도 색깔도 변하지않고 잘 자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침엽수의 대표적인 예가 소나무인데요

    솔잎처럼 뾰족하게 생긴 나무를 침엽수라고합니다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는 겨울에도 색깔이 잘 바뀌지않고 잎도 떨어지지 않는데요

    이것은 추운지방에서 적은한결과로 잎이 가늘어 수분을 잃지않고 겨울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어 잎이떨어지지 않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침엽수는 그 이름 그대로 나뭇잎이 침과 같이 생긴 것입니다.

    침과 같이 생겨 증산작용으로 인한 수분의 증발이 적고 송진과 같은 체액으로 겨울에도 얼지 않지 않기 때문에 겨울에도 잎을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침엽수란 잎이 바늘처럼 뾰족하게 생긴 나무들을 말합니다. 침엽수의 잎이 겨울에도 견딜 수 있는 이유는 '생체부동액'에 있습니다. 부동액이란 한자 뜻 그대로 '얼지 않는 액체'란 의미인데요. 침엽수는 온도가 낮아지면 수액에 당분함량을 늘려서 어는점을 낮춥니다. 그래서 겨울에도 잎이 얼지않고 푸른색인거고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활엽수는 주로 나뭇잎이 넓은 나무와 침엽수는 나뭇잎이 좁고 날카로운 나무가 있는데요

    침엽수는 나뭇잎의 면적이 작아 겨울에도 열을 잘 뺏기지 않아서 나무에 잘 붙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활엽수의 나뭇잎은 가을이 시작되면 붉게 물들면서 가지에서 떨어집니다.

    겨울철에는 햇빛노출량이 적고 건조하기때문에 광합성량을 줄이는데,

    초록색을 띄는 엽록체를 파괴하면서 알록달록하게 색이 변하게됩니다.

    광합성량을 줄이기때문에 잎이 필요하지않고 떨어뜨리는것이지요.

  • 소나무에 들어있는 송진이라는 액체 때문에 소나무가 항상 푸르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송진은 매우 끈적끈적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도 잘 얼지 않아

    소나무에 큰 변화를 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소나무의 잎이 매우 뾰족하여 수분이 잘 증발하지 않아 추운 계절에도 영향을 잘 받지 않습니다.

    다른 침엽수도 비슷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