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먹는 것을 좋아하는데 무조건 먹는 것으로 욕구를 채우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가 먹는 것을 너무 좋아해서 어느 정도 배가 부르게 음식을 제공해도 계속 더 달라고 울면서 표현해요. 이미 많이 먹는 것이 습관화 되서 배가 안 차서 그러는 걸까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전지훈 아동심리상담사
    전지훈 아동심리상담사
    맑은소리언어센터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소화 불량이 올 수 있으므로 적당히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아이가 밥을 먹기 전에 밥을 다 먹고 난 후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미리 준비 시켜 놓으면 아이가 놀이를 할 생각에 밥을 더 먹으려는 욕심을 버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러한 식탐은 결국 욕심을 부리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요. 정량만 먹는다는 걸 아이가 인지해야 합니다. 계속 식탐을 부리며 많이 먹게 되면 그만큼 아이가 먹는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부모님들께서 마음 굳게 먹으시고 아이의 식사량이 조절해 주셔야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위가 팽창해 있는 상황인듯 합니다. 적은양을 여러번 섭취할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또 간식의 섭취를 한동안 줄여주세요. 한동안 울면서 아이가 거부의사를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아이의 식습관을 개선시켜 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구체적인 답을 위해서는 현재 아이가 몇개월인지가 중요한듯합니다

    어느정도 말을 알아듣고 인지적으로 받아드리는 부분이라면 식사시간을 적절하게 조율하고 식단을 구성해주는것

    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몇살이고

    어느정도의 양을 주시는 지 적어주셨으면 더 좋을 것 같네요

    배부르게 음식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다시한번 양을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입장에서는

    배가 부르게 음식을 제공했다는 것이 아이에게는 부족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나이에 맞는 적정량을 찾아보시고

    그것보다 조금더 요구한다면 음식을 주시고

    너무 과하다면 주지않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서적 욕구를 먹을 것으로 채우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모님의 사랑이 부족하다고 느껴져 애정결핍의 욕구를 먹는 것으로 채우려고 하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늘 관심을 가지고 사랑하고 있음을 말로, 행동으로 표현해주세요. 아이의 먹을 것에 관한 관심을 다른 것으로 바꿔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이미 많이 먹는 것이 습관이 되어서 쉽게 바뀌지는 않을 것입니다

    대신 천천히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해 보기 바랍니다.

    그리고 먹은 만큼 아이의 활동량을 체크하셔서 많이 움직일 수 있게 해주세요

    혼자 안하려고 하면 부모가 같이 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아비만 정도가 아니라면 아이마다 기초대사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식성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조금 더 주셔도 됩니다.

    하지만 패스트푸드 또는 탄산음료 아니면 너무 기름진 음식은 가급적 자제하시고

    아이가 양껏 먹게 하시는 것도 좋으나 과하지만 않으면 됩니다.